■ Farmland Fund

농어촌공사 103년 노하우로 해외 농지개척…'농업 농토' 넓힌다 2011-06-27

Bonjour Kwon 2011. 9. 22. 17:23

공기업 해외진출② 농어촌공사] 주요 곡물 자립률 5% 미만, 해외 농업개발로 식량안보

 

한국의 농업 영토가 넓어지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를 중심으로 민관이 손잡고 해외 농지개척에 힘을 쏟은 결과다.

 그동안 한국 농업은 내수 중심의 소극적인 ‘지키기 농업’이었다. 하지만 최근 잦은 기상이변과 작황 부진으로 국제 곡물가격의 변동이 심해졌다. 문제는 한국의 전체 곡물 자립률이 26%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특히 밀, 콩, 옥수수, 보리 등 주요 곡물의 자급률은 각각 5%에도 못미친다.

 그렇다고 무작정 해외 농업시장으로 뛰어들수도 없다. 투자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농어촌공사가 해외 농지 개발에 앞장서는 이유다. 공사는 국내 생산기반 정비 분야의 유일한 공공기관으로 국내에 곡물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해외 농업 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다.

 ◇1967년 베트남에 첫 발…24개국서 95개 사업 수행

 농어촌공사는 댐·저수지·방조제 건설, 대규모 간척사업 등과 같은 농업 인프라(SOC) 조성 분야와 농촌지역의 빈곤 해소 및 소득 증대를 위한 농촌개발 분야에서 기술 우위에 있다고 보고 있다. 

 공사는 1967년 베트남에 전문가를 파견하는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24개국에서 95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베트남 야수프 다목적댐 개발사업(1993), 캄보디아 메콩강 델타지역 홍수조절계획 수립(1998), 인도네시아 까리안댐 타당성조사 및 설계사업(2005), 앙골라 농업현대화사업(2005) 등이 대표적인 프로젝트다.

 이 중 인도네시아 까리안댐 건설사업은 저수량 2억t 규모의 댐을 만들어 물 부족에 시달리는 수도권 서부 반뗀주에 용수를 공급하고, 하류 지역의 홍수조절과 소수력발전, 관광개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지원 사업으로 이미 타당성조사와 설계를 마쳤다.

 이 사업은 추가 수주로도 이어졌다. 까리안댐의 물을 끌어다 인근 자보따벡(자카르타, 보고르, 땅그랑, 브까시 지역을 일컬음) 지역에 공급하기 위한 ‘까리안댐~세르퐁 도수로 및 용수공급시설’을 만들기로 한 것이다. 지난해 7월 한국국제협력단(KOICA) 지원을 받아 공사가 마스터플랜 및 타당성조사 사업을 따냈고 이달 중 마무리 예정이다. 특히 한국과 인도네시아 정부가 각각 EDCF 차관과 재정을 투입해 까리안댐 건설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실무 협의를 진행 중이다.

 앙골라 농업현대화사업의 경우 2009년까지 양수장과 도수로를 건설하는 1단계 사업을 마치고, 지난해부터는 급수관로, 배수로, 경지 정비 등 영농기반시설 확충과 농촌마을, 농민훈련센터 등 농민지원시설을 설치하는 2단계 사업에 돌입했다.

 공사 관계자는 “새만금 사업처럼 공사가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간척기술을 비롯해 댐, 저수지개발, 배수개선 등 농업 SOC 분야의 선진 기술력을 수출하고 있다”며 “국익 증대는 물론이고 저개발국의 농업생산성을 향상시켜 물, 환경, 기아문제 해결이라는 국제사회의 요구에도 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민간기업에 300억원 지원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농업 개발도상국들이 한국의 선진 농업기술을 배우기 위해 농어촌공사를 찾는 발걸음도 잦아지고 있다.

 2006년 11월 탄자니아, 2007년 5월 몽골, 2009년 11월 세네갈, 지난해 10월에는 가봉·파나마의 대통령이 직접 농어촌공사를 찾았다. 지난해 9월에는 한·아프리카 경제협력과 관련해 아프리카 경제장관 25명이 한꺼번에 공사를 방문하기도 했다. 목적은 단 하나다. 한국이 갖고 있는 농업 및 농촌분야의 우수한 기술력과 축적된 경험을 전수해달라는 것이다.

 공사 관계자는 “아프리카의 경우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야기되고 있는 식수, 전기, 농업분야의 낙후성 탈피를 희망하고 있다”면서 “과거에는 우리가 차관을 받고 원조를 했지만 이제는 그들을 보듬고 나가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투자환경이 열악한 민간부문의 해외진출도 돕고 있다. 해외농업조사·컨설팅 혹은 해외농장개발 민간업체에 농기계구입비 등의 융자지원을 하는 방식이다.

 2009년부터 ‘해외농업개발 종합지원센터’를 만들어 국내 21개 기업이 6개국에 진출할 수 있도록 420억원을 지원했다. 올해도 이 사업에 3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 소요 사업비의 70%(금리 연 2%,3년거치 7년 상환 조건)를 지원한다.

 우선 투자역량이 부족한 민간기업에 진출지역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한 관개, 토양, 수자원, 유통 등 전문기술을 제공해 성공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해 진출하도록 돕는다. 또 농기계와 농자재 구입, 사일로 등 저장시설 등 투자가 필요한 기업에는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기업들의 호응이 좋아 향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공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농업은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고, 특성상 공공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공기업인 농어촌공사가 해외농업개발을 통한 공익적 목적을 달성할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태형기자 kth@

〈앞선생각 앞선신문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