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경제,금융시장.사회 변화분석 268

김병준 "통계 조작은 죽음에 이르는 병"…통계청장 교체비판. “정보를 대놓고 조작,전부 바꾸겠다?/신임 통계청장 "특정해석 염두에 두지 않을것"

중앙일보 2018.08.28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이 27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것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8일 문재인 정부의 통계청장 교체를 작심 비판하고 나섰다. 문재인 정부가 중립..

성장률 제동걸리자…R&D예산 늘리고 SOC 덜 줄인다. 계속 늘린 복지, 세수호황 꺾이면…2020년부터 재정 `빨간불`

2018.08.28 21: 혁신성장에 집중투자 ◆ 내년 471조 슈퍼예산 ◆ 혁신성장 프로젝트에 직접 투입하는 예산뿐만 아니라 연구개발(R&D)과 사회간접자본(SOC) 등 간접 지원 자금도 내년에 크게 확대된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혁신성장 달성을 위한 1차 목표로 제시한 '..

소비심리 17개월만에 최저…경제비관론 심화.고용쇼크·물가 상승·무역전쟁 여파.취업기회전망 1년5개월 만에 최저…주택가격전망 상승폭최대

2018.08.28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좀체 나아지지 않는 고용 상황과 채소·외식 물가 상승 등으로 소비자심리지수가 1년 5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지수는 기준치인 100도 넘지 못하며 경제 비관론이 우세해졌음을 시사했다. 소비자심리가 악화해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면..

韓경제 `회색 코뿔소` 상황…文정부, 위험 알고도 대응 못해?안해? '성장담론'은 보수꼴통문제로 치부.성장해야 나눌수있어

2018.08.27 `文정부에 쓴소리` 이인실 차기 한국경제학회장 ㆍ조세로분배?ㅡ비효율만 낳는다 ㆍ 이인실 차기 한국경제학회장(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이 현재 한국 경제 상황을 '회색 코뿔소'에 비유했다. 회색 코뿔소는 멀리서도 눈에 잘 띄지만 실제로 눈앞에 나타날 때까지 제대..

◆ 靑 소득주도성장 '마이웨이' ◆.고용質·소득 개선?…실상은?정규직 증가세 주춤, 취약층 소득은 곤두박질

2018.08.27 소득주도성장 성과 있다지만…실상은 문재인 대통령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지속·강화하겠다며 근거로 든 통계들이 실상 따지고 보면 엄밀한 분석 없이 아전인수식으로 인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청와대가 소득주도성장의 문제를..

■ 부동산 폭등에 부글부글.자고나면 `억` 소리…2030세대 `악` 소리. 아무리저축해도 집못사.결혼출산기피.세대갈등우려

"집도 없는데…결혼·출산 포기했어요" 최초입력 2018.08.26 자고나면 `억` 소리…2030세대 `악` 소리 ■ 부동산 폭등에 부글부글 지난해 9월 결혼한 직장인 이 모씨(30)는 올해 말 서울 관악구 신림동 인근 집을 매입한 후 내년부터 본격적인 2세 계획을 세울 예정이었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 "우리는올바른 경제정책 기조로 가고있다"!주장.'결과에 직을 걸어라!'.정면돌파.학계 기업인.자영업자와 현실인식 큰격차 재확인~

.한국·바른미래 “文대통령 경제인식 현실과 동떨어져” ㅡ장하성 .소득주도성장 정책 속도있게 추진…모든 수단 동원 ㆍ성장성과 기업이 누리고.투자는안해 ㆍ고용소득악화가 오히려 소득주도성장 당위성입증 주장! ㆍ자여멉자 대책등 본격화땐 가계소득빠르게 늘어날것 ㆍ..

'靑.여당 소득주도성장'고수./학계비판 확산.실패한 정책…"성장론아닌 분배론일 뿐' 남미처럼 재정위태' 김동연 사퇴?"

2018.08.24 靑 "정책기조 변함 없다"…與도 "이제야 시작 단계" 장하성 실장 26일 간담회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 탓에 고용·투자·분배 모두 악화" 청와대와 여당이 10년 만에 최악의 소득 분배 성적표를 받고서도 돈 풀기식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을 지속하겠다는..

153조 쏟아붓고도 출산율최저(출산율 0.97명 )…13년간 헛돈 이대로면…생산·소비 경제축 무너진다 울릉·남해·속초등 시군구 10곳중 4곳 `소멸위기

2018.08.22 보육료 집중 지원 헛발…저출산예산 패러다임 바꿔야 ◆ 1명도 안낳는 한국 ◆ 152조8000억원. 참여정부 후반기인 2006년부터 올해까지 쏟아부은 저출산 대책 관련 예산 규모다. 내년도 저출산 예산은 올해보다 3조원 넘게 늘어나 사상 처음 연간 30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

취약층 소득높힌다던 문정부 되레 중기 일자리만 날렸다.300인 미만 사업체 취업자, 8년반 만에 첫 마이너스

2018.08.21 대형사업체 고용 늘고 중소형은 급감…주 52시간 단축 영향 분석도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서민 자영업 경기의 불황 여파로 종사자 규모가 300인 미만인 중소 사업체에서 일하는 취업자 수가 8년 반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이에 반해 300인 이상 대형 사업체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