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22
-부동산 외에 다른 투자처 마땅치 않아 자금이 부동산 시장 안에 머물 가능성
-대안으로 공모형 부동산 투자상품 부상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금융당국이 주택시장에 이어 부동산 임대업에 대해서도 ‘대출 옥죄기’에 나서면서 부동산으로 몰렸던 투자자금이 부동산 관련 간접투자상품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 15일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부동산 임대업도 상환 능력 내에서 빌리고 대출원금은 분할상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1ㆍ3부동산 대책’을 통해 가계 대출 규제에 나선 정부가 부동산 임대업에도 높은 잣대를 들이대면서 앞으로 수익형 상가 투자 문턱은 높아지게 됐다. 정부가 이처럼 부동산 임대업 대출 규제에 나선 것은 재정건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무분별한 투자 수요를 압박하는 동시에 원리금 분할 상환으로 경기침체 등 우려되는 충격에 대비한다는 것이다.
원본보기
이에 따라 빚을 내 부동산을 사는 ‘레버리지 투자’는 장벽에 가로 막히게 됐다. 여기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우려가 커지고 있어 레버리지 투자자에겐 이중고로 작용하고 있다.
문제는 저금리 기조와 그간의 부동산 경기 호황을 타고 부동산으로 몰려들었던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이 갈 곳을 정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자칫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은행 예금 등이나 단기자금 시장에 묶여 버릴 경우 ‘돈맥경화’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안명숙 우리은행 WM자문센터 부장은 “부동산 내 맴도는 자금이 이번 조치로 크게 빠질 것 같지는 않다”며 부동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펀드 같은 간접상품을 주목했다. 안정적으로 배당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식형 펀드보다 안전성이 높고 수익률은 채권형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부동산 공보펀드는 지난해 11월 서울역 인근 퍼시픽 타워를 기초자산으로 모집을 시도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 아직 부동산 공모 펀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지 못한데다 그동안 부동산 투자상품 대부분이 기관투자자를 대산으로 한 사모형이었던 영향이 컸다. 그럼에도 점차 공모형 부동산 투자상품은 확산되고 있다.
현재 올해 상반기 출시가 예정된 공모형 부동산 투자상품은 모두 3건으로 총 3000억원 내외다. 기초자산은 삼성물산, NASA, 이랜드 계열사 등 임차기간이 자기고 규모가 큰 임차인을 확보하고 있어 출시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의 성과에 따라 추가 상품 출시가 잇따를 것으로 보이며, 부동산 투자도 기존 직접투자에서 간접투자로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kwy@heraldcorp.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