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형임대관리업.뉴스테이.임대시장

마산 마산회원구 회성동 일원 복합행정타운 '택지' 혹은 '뉴스테이' 갈림길.부지 면적의 90%가 공동주택용으로 시가 3683억원의 사업비를 전액 부담

Bonjour Kwon 2017. 3. 8. 16:40

2016.11.09

 

【창원=뉴시스】박오주 기자 = 자족형 복합행정타운 조성이 무산된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성동 일원에서 창원시가 추진하는 택지 조성사업이 택지 조성이냐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 사업이냐의 갈림길에 들어섰다.

 

창원시는 자족형 복합행정타운 조성을 위해 그린벨트에서 해제된 마산회원구 회성동 396번지 일원에 사업목적을 택지조성으로 변경한 관리계획안을 지난해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제출해 68만5800㎡의 택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부지 면적의 90%가 공동주택용으로 시가 3683억원의 사업비를 전액 부담한다.

 

택지조성 사업은 사업성 부족으로 경남개발공사가 사업 참여를 취소함에 따라 해제된 그린벨트를 환원해야 할 처지에 빠지자 대안으로 마련됐다. 시는 환원 시 폭발할 민원을 이유로 국토부를 설득해왔다.

 

그러나 중앙도시계획위원회는 지난 6월 관리계획변경안 심의에서 당초 행정타운 목적에 맞게 공공성을 더 확보해 재심의를 받도록 결정했다. 3만 평 규모로 올린 관리계획변경안의 공공택지 규모를 8만 평으로 확대하라는 것이 중도위 의견이다.

 

시는 이에 따라 현재 공공성 확보방안으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분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대구경북과기원 분원은 창원과 김해 중 한 곳에 설치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창원 유치가 유력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시는 그러나 유치 실패를 대비해 기업형 임대주택(뉴 스테이)사업으로 전환하는 것도 검토하고 국토부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곳은 지역주택조합이 아파트 건립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되는 곳이다. 가칭 회성동지역주택조합 추진위는 아파트 1157세대 건립을 목표로 조합원을 모집하다 지난 6월 시로부터 사기혐의로 고발조치됐다. 그린벨트에서 해제된 땅은 민간이 개발사업을 할 수 없다는 것이 시 입장이다.

 

조합은 그럼에도 최근 2차 조합원 모집에 들어가며 시에 정면으로 반발하고 있다.

 

joo4829@news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