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its

017년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공모/상장 리츠 시장

Bonjour Kwon 2017. 5. 2. 08:38

2017.4.20

공모리츠 시장에 변화를 예상해보는 2017년

 공모•상장 리츠 시장은 지난 2016년 2월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리츠 경쟁력 제고 방안’ 이후 이렇다 할 진전 없어 상태 유지(Status Quo) 정도로 근근히 명색을 지켜왔다.



 정체된 공모•상장 리츠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3월 14일 국무회의에서 리츠 1인 주식소유 제한 완화, 리츠와 특별관계자와의 거래제한 완화 등을 골자로 하는 부동산투자회사법 일부개정안을 통과시키며 시장 활성화의 의지를 내비쳤다.



2017년 공모•상장 리츠 시장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이유

 2017년 공모•상장 리츠 시장에는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그 이유로는 저금리 •저성장 기조, 국내부동산 시장에대한 투자자들의 꾸준한 수요, 정부의 시장 활성화 의지가 있기 때문이다

1. 저금리 • 저성장 기조의 지속이다.

수년간 저금리 • 저성장 환경이 지속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해온 부동산간접투자상품이 주목을 받고 있다.



2. 국내 부동산 시장 및 부동산간접투자상품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꾸준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



3. 정부의 공모•상장 리츠 시장 활성화 의지에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국토교통부는 공모•상장 리츠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으며 기존의 정책을 수정하며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공모•상장 시장 활성화의 불안요인도 존재

 물론 불안 요인 및 개선점이 존재한다.

5월 조기대선 후보들의 부동산 규제 스탠스 및 부동산펀드와 공모•상장 리츠의 경쟁/잠식이 있다.



공모•상장 리츠 시장 활성화, 정부와 시장의 신뢰회복이 Key

 특히 이번 부동사투자법 일부개정안을 계기로 정부와 시장은 투자자들로부터 잃어버렸던 정부와 시장에 대한 신뢰가 회복을 예상한다.



 그 동안 정부의 한계가 드러나는 리츠 관련 정책으로 *앵커와 *AMC는 리츠의 공모 및 상장 전환에 대해 회의적이였고 일반 투자자들은 리츠상품 자체에 대한 불안과 제한된 시장규모로 투자를 꺼려했다.

그러나 향후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활성화 의지를 바탕으로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하며 더 나은 시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앵커 리츠: 개발․건설업자, 호텔‧유통 대기업, 금융기관, 연기금 등이 최대주주(Anchor)가 되어 리츠의 자금조달과 자산운용, 시설관리 등을 전반적으로 지원, 안정성‧신뢰성을 높여주는 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