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정보 빅데이터 주가에 실시간 영향…지배구조까지 바꿔
최초입력 2017.07.11 17:47:00
크게작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밴드공유 메일보내기
◆ MSCI의 글로벌 증시 진단 / 헨리 페르난데스 MSCI 회장 인터뷰 ◆
기사의 1번째 이미지이미지 확대
"한국의 사회책임투자를 야구 경기에 빗대어 보자면 9회 중 아직 1~2회도 못 왔다."
지난 10일 방한한 헨리 페르난데스 MSCI 회장은 사회책임투자로 대변되는 `환경·사회·지배구조(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ESG) 투자`에 관한 한 한국 시장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며 이렇게 말했다. 최근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 행진을 벌이며 승승장구하고 있지만 오너의 갑질 논란이 있는 일부 기업들은 소비자뿐만 아니라 투자자들로부터도 외면받아 주가 급락을 겪고 있다.
마치 이를 잘 알고 있기라도 한 듯 페르난데스 회장은 말을 이어갔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규모가 큰 연기금들은 ESG 투자 원칙을 일찍부터 지켜나가고 있다"며 "전 세계 연기금이 삼성전자 등 한국의 글로벌 기업에 투자하고 있는 데다 한국의 연기금도 해외 투자를 하는 만큼 ESG 투자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ESG 투자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지배구조 변화 등 비재무적 성과를 분석하고 반영하는 투자를 의미한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CalPERS)은 총 10억500만달러(약 1조2000억원)가량을 ESG 투자에 쏟아붓고 있고, 노르웨이 국부펀드(GPF)는 전체 자산을 ESG 기준으로 관리하면서 여기에 위배되는 기업들은 투자금을 빼고 목록까지 만들어 발표할 정도다. 일본 공적연금(GPIF)도 지난 3일 주식 투자분의 3%에 달하는 1조엔(약 10조6000억원)을 ESG 투자에 할당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한국투자공사(KIC)가 사회책임투자를 위한 태스크포스를 결성했고, 국민연금이 운용사에 ESG 투자를 일부 위탁하고 있는 게 전부다.
ESG 투자가 장기적으로 수익률이 높다는 것도 수치적으로 증명된다. 신흥국과 선진국의 2449개 기업 주식이 포함된 `MSCI글로벌지수(MSCI ACWI index)`의 지난해 수익률은 18.4%지만 ESG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기업 1118개만 포함된 `MSCI글로벌ESG지수(MSCI ACWI ESG index)`의 같은 기간 수익률은 17.6%로 낮다. 반면 투자 기간을 5년으로 늘려 보면 수익률은 뒤집힌다. MSCI글로벌지수의 5년간 연평균 수익률은 9.3%지만 MSCI글로벌ESG지수 수익률은 9.7%로 나온다. ESG 투자 수익률이 더 높게 나온다는 얘기다.
기사의 2번째 이미지이미지 확대
페르난데스 회장은 "과거 10년을 보면 ESG 투자가 일반 투자에 비해 수익률이 나은 편인데 이런 현상은 앞으로 10년간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시대에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금융상품도 ESG 투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글로벌 뉴스를 일주일치만 잘라 본다면 아마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뉴스가 없는 주는 한 주도 없을 것"이라며 "지난달 미국에서도 직원 처우 관련 논란 때문에 혁신기업 우버의 CEO가 물러나는 등 SNS 덕분에 기업 지배구조가 바뀌고 있다"고 밝혔다. 과거에는 기업들이 다소 사회적으로 논란이 될 만한 일을 저질러도 잘 드러나지 않는 일도 많았지만 요즘은 SNS 덕분에 실시간으로 주가에 반영된다는 의미다. 실적만 보고 투자하는 일반 투자보다 실적 외의 것까지 감안해 투자하는 ESG 투자가 앞으로 더욱 인기를 끌 수밖에 없으리라는 것도 이 같은 사회적 변화 때문이다.
MSCI는 현재 700개 이상의 ESG지수를 갖고 있는데 이를 추종하는 자금은 지난해 말 기준 560억달러(약 61조원) 수준이다. 전체 MSCI지수 추종 자금이 11조달러임을 감안하면 작은 규모지만 요즘 성장 속도는 어느 지수 못지않게 빠르다. MSCI는 전 세계 4000개 기업이 겪고 있는 사회적 문제며 환경영향 등을 하나하나 파악하기 위해 매일 1200개 이상의 전 세계 언론을 추적한다. 재무제표에는 드러나지 않는 정성적인 평가를 위해 매일 수십만 건의 데이터를 누적해 나가는 것. 기관투자가들의 ESG 투자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 MSCI가 하나의 거대한 빅데이터 기업이 돼 가고 있는 셈이다. 페르난데스 회장은 "글로벌 경제에 가장 큰 주체는 기업이고, 이들 기업이 더 나은 사회적 주체가 돼야만 투자자도 몰리고 일자리도 나오는 것"이라며 "ESG 투자가 당장은 기업에 인기가 없을지 몰라도 앞으로는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용어 설명>
▷ ESG 투자 :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같은 환경적인 요소나 지배구조처럼 비재무적 성과를 분석해 투자금을 집행하는 투자를 의미한다.
[한예경 기자 / 사진 = 이승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겁없는 `꼬꼬마 빌딩` 몸값 30억!
롯데 울린 면세점 심사 `권력의 농간`
`무서운 마을 인증` 일가족·마을주민이 단체 보험사기
추경 지체 최대 피해자는 청년…4년후 134만명 `백수`
[단독] 韓-佛, 인공위성·헬기 공동개발한다
'Social Impact Invest(Solal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폼파트너스자산운용, 사회적 책임투자 기업으로의 진화 도모 (0) | 2017.07.27 |
---|---|
사회책임투자 연기금 세 곳뿐…투자액 97%는 국민연금. 정부 '투자 확대' 요구하지만, 연기금 'SRI 무풍지대'…"마땅한 투자처 찾기도 어려워" (0) | 2017.07.27 |
글로벌 대세는 `착한 투자` 삼성운용 내달 SRI펀드 출시. 지배구조 우수 기업에 투자…작년 전세계 운용액 23조弗 (0) | 2017.07.05 |
신재생 확대, 사회적 금융활용 필요. 에경硏, 민간금융 투자 대안 고려 제안 (0) | 2017.06.19 |
이제 임팩트 투자가 대세 수익과 사회 혁신 동시에 잡아라 (0) | 2017.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