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펀드 (국내)

58조펀드에서 29조리츠까지...부동산 간접투자 르네상스시대 개막.정부 부동산 직접투자보다 간접투자유도 팔 걷었다.

Bonjour Kwon 2017. 11. 20. 07:42

2017-11-20

 

바야흐로 부동산 간접투자 르네상스시대다. 저성장·저금리가 장기화되면서 자연스럽게 투자 수익률을 높은 상품을 찾는 이들과 이를 활용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금융사의 니즈가 절묘하게 맞아 떨어진 결과다.

 

그동안 부동산 시장은 직접 땅을 매입하고, 건물을 사고파는 실물 투자가 주를 이뤘다면 최근에는 일반 개인들도 투자할 수 있는 대체투자 부문이 주목받고 있다.

 

이 중에서도 일정한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REF)와 리츠(REITs)로 대표되는 간접투자가 폭풍성장을 하고 있다.

 

먼저 10년 전 6조6500억원에 불과했던 부동산펀드의 몸집은 올해 11월 기준 58조원을 넘어섰다. 과거 기관투자자 위주의 사모방식에 집중돼 있었지만, 최근에는 일반투자자도 참여 가능한 공모방식으로 전환되면서 투자자금이 몰린 것이다.

 

리츠 역시 저금리 및 주택 시장 호황을 배경으로 지난해부터 최대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국내 리츠 시장 전체 규모는 2011년 말 리츠 수 69개, 총자산 규모 8조2000억원에서 올해 8월 말 현재 각각 186개, 29조2000억원으로 불어났다.

 

여기에 정부도 리츠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규제를 완화하기로 하면서 내년부터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현기자 ljh@

 

ㅡㅡㅡㅡ

 

<월요기획>정부 부동산 간접투자 팔 걷었다

 

2017-11-20

리츠 등 활성화해 직접투자보다 간접투자 기회 확대...실질적인 시장 영향은 지켜봐야

 

정부도 부동산간접투자 활성화를 위해 나섰다. 국민들에게 아파트와 같은 실물자산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닌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하는 부동산간접투자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전문가들은 국내 부동산간접투자 발전이 크게 뒤처졌고 규제와 세제 정비를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업계는 정부가 부동산간접투자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다만 실효성 있는 유인책이 빠져있어 실제 부동산간접투자가 확대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가계부채 종합대책에 따르면 다음달 부동산투자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된다.

 

사모 리츠를 공모 리츠로 전환하고자 공모 의무가 면제되는 연기금 투자비율을 50%로 높이는 게 주요 내용이다.

 

기업구조조정 리츠(CR)에 대해서는 공모 의무가 면제되는 채무상환비율을 70%까지 올리고 공모 의무 면제 기간도 최대 7년으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는다.

 

비개발·위탁관리형 리츠는 상장 심사 기간을 2~3개월로 단축해 상장이 쉽도록 돕는다. 정부가 가계부채를 잡으면서 부동산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초과 유동성을 리츠로 돌리겠다는 취지로 풀이됐다.

 

정부는 작년 초부터 리츠의 설립 투자를 유도하는 부동산투자회사법·시행령 개정안을 꾸준히 선보였다. 설립자본금 기준을 완화하고 1인 주식소유 제한과 자기관리 리츠의 이익배당의무 등도 덜어줬다.

 

리츠 업계에서는 그간 부동산펀드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던 리츠가 정부의 핵심과제 중 하나로 들어갔다는 점에서 환영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부동산 시장에서의 직접 거래 비중을 줄이고, 리츠를 통해 간접투자를 활성화하겠다는 것은 투자 재무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의 규제 완화의 일부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반응도 나온다. 정부가 상장 심사기간을 단축하기로 했지만 여전히 부동산펀드에 비해 경쟁력이 뒤쳐진다는 이유에서다.

 

부동산금융 관계자는 "심사기간 2~3개월도 여전히 길다"며 "부동산펀드는 투자자 모집 후 곧바로 상장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리츠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부동산펀드에 대한 규제 완화는 실질적인 내용이 없어 불만이 터져나온다.

 

정부는 부동산 펀드는 국민주택채권 매입의무 면제 대상을 기존 임대주택사업 공모형 부동산펀드에서 모든 공모형 부동산펀드로 확대해 공모를 유도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실물자산 펀드 상품을 다양화해 수익률을 높이고 개인들도 투자에 참여할 수 있도록 외연을 넓혀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자산운용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도 공모펀드 활성화를 정책으로 제시한 만큼 자본시장법 개정, 세제 혜택,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다양한 상품이 출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재현기자 ljh@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