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위기와 기회 공존하는 캄보디아 캄보디아등 동남아에 깃발 꽂는 금융사. 인도네시아가 281곳으로 가장 많았고 캄보디아(187곳), 미얀마(102곳) 등

Bonjour Kwon 2019. 2. 21. 08:52

2019-02-21

국내 금융사들이 중국, 베트남에 이어 캄보디아에서도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중에서도 평균 연령이 낮은 '젊은 국가'인 데다가 외국 금융사에 대한 금융 규제가 적어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20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동남아시아 지역에 진출한 국내 은행 점포는 674곳에 달한다. 이 가운데 인도네시아가 281곳으로 가장 많았고 캄보디아(187곳), 미얀마(102곳)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6월 캄보디아 현지 금융사인 비전펀드캄보디아를 인수하며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비전펀드캄보디아는 총자산 2200억원에 지점 106곳을 보유한 여수신 전문 금융사다.

close

 

우리은행은 글로벌 차량공유업체인 그랩과도 제휴를 맺고 운전기사 전용 금융상품을 출시하는 등 현지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사진=NH농협은행 제공]

 

캄보디아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 NH농협은행도 지난해 9월 농협파이낸스캄보디아 법인을 출범하는 등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농협은행은 경제지주와 협력해 농기계 할부 대출 등 상품 다양화뿐 아니라 농업 및 소상공업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사업도 전개할 방침이다.

close

 

그동안 해외부문에서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한 KB국민은행은 지난해 스텅민체이·츠바암포 등 지점 2개를 늘리며 캄보디아 내 영업 채널을 확대했다. 자체 육성한 캄보디아 직원을 지점장으로 승진시키는 등 현지화 작업도 공들이고 있다.

 

KB국민카드 역시 지난해 LVMC홀딩스와 조인트벤처 형태로 공동 인수한 'KB 대한 특수은행'의 출범식을 갖고 본격적인 영업에 들어갔다. KB 대한 특수은행은 LVMC홀딩스가 현지에서 조립 생산한 자동차와 딜러숍 판매 자동차 등에 대한 할부금융과 부동산담보대출을 양대 축으로 영업에 나서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4월 현지법인인 신한크메르은행의 은행명을 신한캄보디아은행으로 바꾸고 본점을 캄보디아 대표 상업 및 금융 중심 지역인 프놈펜으로 이전했다. IBK기업은행 역시 지난해 12월 캄보디아 프놈펜지점을 공식 오픈하고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했다.

 

이처럼 국내 금융사가 캄보디아 시장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간단하다. 높은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캄보디아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연 평균 7%대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파이낸스캄보디아는 70여개 중소여신전문사 가운데 시장점유율 1위로 올라섰고, KB캄보디아은행은 최근 2년 동안 대출금이 두 배로 증가했다. 디지털뱅킹 서비스인 '리브 KB 캄보디아'는 출시 1년 6개월 만에 3만400여명의 가입자를 확보했으며, 월 평균 약 400만 달러의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외국 금융사에 대한 캄보디아의 외환 규제가 주변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다는 점도 유리하게 작용했다. 다른 선진국 금융의 지배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한류에 힘입은 국내 금융사가 진출하는 데도 수월하다.

 

다만, 캄보디아 진출을 무조건 지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동남아시아 최빈국으로 꼽히는 곳에서 은행들이 소매금융으로 수익을 내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연 7%라는 경제성장률도 캄보디아의 약한 경제체력을 감안했을 때 높지 않다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전체 인구의 17%만 은행을 이용하는데, 이는 금융사들이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다기보다 잔고를 유지할 여력이 없거나 이용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이들이 대부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정치불안을 문제로 꼽고 있다. 현재 훈센 캄보디아 총리는 1985년 최연소 총리가 된 후 이후 약 34년간 각종 정치공작과 쿠데타 등으로 독재정치를 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시중은행들이 신남방 정책의 일환으로 최근 캄보디아에 집중하는 모습"이라면서도 "정치적 불확실성이 큰 만큼 시중은행의 신규사업과 인력 충원이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안선영 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asy728@ajunews.com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