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정책.제도,법규.세제등

금융당국.코로나 충격 장기화 판단…비정상적 급락때 수조규모 '자본시장 안정펀드'조성 검토등 안전판 활용 추진중

Bonjour Kwon 2020. 3. 16. 21:43

2020.03.16

금융당국이 자본시장 안정펀드 조성을 검토하는 것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자본시장 충격이 보다 장기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지난달 외국인이 3조원 넘게 주식을 순매도하고 최근에도 연일 매도세를 이어오자 금융·자본시장 불안이 실물경제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지난 13일 증시안정기금 등 추가 대책과 관련해 "공매도 조치를 해서 모두 안정되느냐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다. 수급을 기반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펀드 조성과 운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 논의 중인 상태다. 금융지주사뿐 아니라 다양한 기관이 참여할 가능성도 시장 안팎에서 거론되고 있다. 각 펀드 운용 주체들이 각자 펀드를 운용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상황에 따라서는 펀드 조성 계획 자체가 수정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정부는 여러 차례 증시안정기금을 조성한 바 있다. 주로 증시안정펀드는 한국거래소, 예탁결제원, 금융투자협회 등 증권 유관기관들이 조성에 참여했다. 조성된 펀드는 한국증권금융 내 펀드운용팀이 관리했으며, 다만 유관기관이 조성한 펀드라도 모두 소진할 때까지 활용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증시 안전판인 만큼 하락 폭이 클 때나 필요 이상으로 비이성적인 매도가 나올 때 집행하고, 일정 수준 이상으로 지수가 형성되면 빠져나오는 형식을 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가장 최근인 2018년 11월에는 자본시장 안정화를 위해 5000억원 규모로 기금을 마련했다. 당시에는 기존 2000억원 수준인 펀드에 3000억원을 추가로 조성했다. 당시에는 한국거래소가 970억원, 한국예탁결제원이 816억원, 금융투자협회가 214억원을 각각 출자해 기본 펀드액인 2000억원을 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한국증권금융이 사무국 기능을 맡아 운용했으며, 투자 시점이나 대상을 확정하면 기관별로 미리 약속한 자금을 집행하는 `캐피털 콜` 방식으로 진행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펀드를 조성하면 단번에 모든 돈을 투입하는 것은 아니며 증시 상황에 따라 조금씩 투입하게 된다"며 "증시 상황이 좋아지면서 당시 자금을 다 투입하지도 않고 다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준비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이번 대책은 아직 정책 초기 단계로 펀드 조성부터 활용 방안까지 구체화가 더욱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가장 대규모로 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한 것은 1998년 외환위기 때였다. 당시 정부는 30조원 규모로 채권안정기금을 조성해 금융시장 안정화에 나선 바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현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위기 상황이 일시적인 문제, 소위 주가가 폭락했다가 바로 반등하는 `V형`이 아닐 수도 있다는 시각이 있다"며 "단번에 자금을 투입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전판을 마련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최승진 기자 / 진영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