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펀드(해외)

금융당국, 全금융사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집중 단속

Bonjour Kwon 2024. 4. 9. 06:45

금융당국, 全금융사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집중 단속

  •  입력 2024.04.08 07:36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황남경 기자 = 금융당국이 전 금융권의 대체투자를 집중 단속하고 나섰다.

 

일부 부동산 시장 경기가 살아나고 있다고 하지만 추세적인 불황을 벗어나지 못한 데다, 여전히 적정 손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가 많은 만큼 만기가 도래하는 투자 자산을 중심으로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에 돌입하기 위해서다.

 

8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주까지 금융감독원은 은행·보험·증권·상호금융·저축은행 등 전 금융사를 대상으로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금감원은 투자자산을 420여개로 나열, 국적을 비롯해 소재와 유형, 기준 통화, 취득가액, 자산가치 평가 시점과 평가 방법, 대출 유형 등을 상세히 구분하도록 했다.

 

더불어 투자자산의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만큼 자산의 담보가치에 대한 대출 비율을 보여주는 담보인정비율(LTV)까지 파악하도록 했다.

 

특히 전 업권 중 부동산 대체투자 규모가 가장 큰 보험업권의 경우 300억 이상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했다.

 

금감원은 이번 조사를 시작으로 전 금융사로부터 매월 7영업일 전까지 월별 자료 취합해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방침이다.

금감원의 대대적인 이번 전수조사에 금융권은 적잖이 당황했다는 후문이다.

 

A 금융사 관계자는 "PF를 제외하고 부동산의 개발, 운용, SOC가 종류별로 세세히 나눠진 데다 이들의 투자자산 잔액도 연초, 반기말 기준 선순위부터 중·후순위, 블라인드 투자 등을 모두 구분하도록 했다"며 "모든 자산을 다 확인하느라 유례없는 검증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B 금융사 관계자 역시 "단일자산뿐만 아니라 복수 자산에 투자한 블라인드 펀드, 재간접 펀드 등에 대한 자산도 일반·특별계정에 따라 원금 누적 손실이 얼마인지 파악해야 해 자체 리스크 관리 기준도 변경했다"며 "해 만기도래분을 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금감원의 의지가 읽혔다"고 전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국내 금융사가 단행한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6조4천억 원으로 금융권 총 자산의 0.8%에 불과하다.

 

업권별로는 보험사가 31조9천억 원으로 전체의 57%를 차지했다. 은행은 10조1천억 원으로 18%, 증권(8조4천억 원)과 상호금융(3조7천억 원)은 각각 15%와 7%를 차지했다.

 

중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 규모는 12조7천억 원이다.

 

절대적인 규모상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는 미미하다. 선진국 기준으로도 자본 비율이 높은 국내 금융권의 특성상 손실 흡수 능력이 충분하다는 게 금융권의 중론이다.

 

하지만 금감원은 부동산 자산이 부실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손실 인식과 이에 대한 흡수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 시기 EOD가 발생한 투자자산 규모는 2조3천100억 원(단일사업장 기준) 남짓이다. 선순위 채권자에 대한 이자와 원금이 지급되지 않거나, 자산가치 하락으로 LTV 조건을 채우지 못한 사례들이다.

 

다만 석 달 전과 비교해 EOD 규모는 1조원 가까이 늘었다. 해외 부동산 시장 침체가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만큼 복합시설은 물론 상가, 주거용 부동산도 꾸준히 부실화될 수 있다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사업장이나 투자건별 만기도래 분에 대한 리스크를 사전에 충분히 선제로 파악하자는 게 이번 전수조사의 취지"라며 "국내 부동산 PF의 경우 별도 관리 중이다. 과거 신속한 현장 파악에 한계가 있는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에 대해서도 앞으로는 만기임박 자산에 대한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