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wC는 전세계 자산운용시장(펀드, 일임, 대체투자 등) 규모가 현재 64조달러에서 2020년에는 100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세계GDP성장율, 노령화 연금인구, 신흥국에서의 세대간 부의 이동 등을 근거로 추정
- 이는 주로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지역에서의 성장에 기인하는 것으로,이들 지역 비중은 현재 10%에서 2020년에는 34%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이에 따라, 이들 지역의 자산운용사(예: 중국 Harvest)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
- ETF와 같은 패시브(passive) 운용부문*은 약 3배, 대체투자부문은 약 2배의 증가가 예상되는 반면, 액티브운용부문은 25~30%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
* 패시브 펀드에 대한 수요는 영국, 네덜란드, 이탈리아, 스위스, 남아공 등에서의 투명한 수수료 제도가 도입되면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한편 중소형 운용사는 대형 자산운용사의 일부로 흡수되거나, 국부펀드 특화 운용사가 될 것으로 전망*
* 현재 유럽의 경우, 대형 25개의 펀드로 신규자금의 50%가 유입되고 있으며, 이런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임
'자산운용사경영(CEO 인터브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자산운용 CEO들, 수익 낙관…미국·서유럽 ′찜′ PwC 서베이 "비용 절감보다 적극적 운영 확대에 초점" (0) | 2014.02.19 |
---|---|
한국 펀드시장 매력적” 성장 잠재력 높아. GDP 대비 설정규모 는. 21% : 호주나 미국대비 1/5수준 (0) | 2014.02.18 |
자산운용사의 성공 방정식. 일관성 있는 `운용철학'과 `운용시스템' 한국대부분의 운용사는 운용철학을 정립해야한다는 발상자체가 없는지도. (0) | 2014.02.17 |
공정위,계열자산운용 위탁거래. 수수료기준으로 공시여부 판단…내부거래 공시기준 유명무실 (0) | 2014.01.27 |
자산운용 수탁고 올 1000兆 넘을 듯 (0) | 201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