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IPO등>/바이오 신약

신약개발 ABC…"될성부른 후보물질에 투자" 산학.글로벌 콜라보레이션 전략에 주목.M&A등

Bonjour Kwon 2014. 10. 13. 07:39

2014-10-13 06:14:58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국내 제약사들의 글로벌 진출 3대 키워드는 뭘까.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항암전략연구팀 김영화 이사는 ▲가능성 있는 후보물질에 대한 집중 연구(리스크 가능성 높은 물질에 대한 과감한 연구 중단) ▲오픈 이노베이션 ▲국내·외자사 간 콜라보레이션 등을 꼽았다.

 

김 이사는 코넬대 의대, 美 머크연구소 등에서 신약개발 전과정에 대한 경험과 역량을 쌓았다.

 

귀국 후에는 녹십자, 한국화이자에서 R&D 전략과 R&D BD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다.

 

"국내 제약사들의 외형적 연구개발 규모는 빅파마보다 열악한 게 사실이지만 질적 수준과 비전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타겟 물질에 대한 정확한 목표설정과 과감한 집중 투자가 뒷받침 된다면 신약개발에 성공할 수 있다고 봅니다."

 

김 이사의 국내 제약 글로벌 진출에 대한 장밋빛 전망 실현 조건은 오픈 이노베이션과 콜라보레이션에 있다.

 

특히 콜라보레이션 전략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콜라보레이션은 A사와 B사의 협업을 통한 유·무형적 가치 창출로 정의된다.

 

즉 1+1=2가 아닌 2+α의 값을 창출하는 전략이다.

 

콜라보레이션은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인력을 통한 아이디어의 현실화 가능성을 높여 준다.

 

쉬운 예로 광동제약과 드롭탑의 콜라보레이션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유통사는 커피 브랜드 매니아를 흡수할 수 있고, 커피 브랜드사는 유통망을 확보할 수 있다.

 

"콜라보레이션 전략은 국내 제약사 대 국내 제약사가 아닌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이 효과적일 것입니다. 최근 이 전략은 빅파마들 간에도 심심찮게 구사되고 있어 꾸준한 스크리닝이 중요합니다."

 

아울러 김 이사는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제약 CEO들에게 '임상 도중 리스크 확률이 높아진 후보물질이라면 투자비용에 연연치 말고 중도에 과감히 포기하는 마인드야말로 다음을 기약할 수 있는 최고의 선택'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다음은 김영화 이사와의 일문일답.

 

-A/Z 항암전략팀과 연구협력팀 리더로서 역할은

 

=AZ는 디스커버리에서 초기 임상까지를 한데 묶어 연구개발 연결구조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항암전략팀에서는 AZ의 연구 파이프라인을 확충하는 일과 공동 연구개발 등의 업무를 관장하며, 그 중 아시아 & 이머징마켓팀을 리드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인에 흔한 암종이나 암종이 같더라도 암을 일으키는 유전 변이가 다른 경우가 점점 더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임상 뿐 아니라 디스커버리나 중개연구 단계에서부터도 아시아의 연구자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공동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협력팀에서는 한국·싱가포르·호주에서 R&D BD로 불리 우는 일(거래처 탐색에서부터 계약 체결)을 담당하고 있다.

 

-바스켓트라이얼 등 A/Z의 차세대 연구개발 포커스는

 

=AZ는 5개의 분야(항암, 심혈관, 면역, 감염, 뇌질환)를 선택해 연구개발을 집중하는 회사로 혁신 신약 제품화를 최종 목표로 한다.

 

혁신 신약을 만들기 위해서는 회사 내부에서의 연구협력 뿐만 아니라 외부 연구자들과의 연구협력이 유기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을 파악하고, 오픈 이노베이션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면 회사가 연구 중인 화합물을 웹포털(web portal)에 올려놓아 정보를 볼 수 있게 해 연구자들이 아이디어만 있으면 간단한 제안과 MTA를 통해 화합물을 받아 연구하고 퍼블리시할 수 있도록 구축돼 있다.

 

또한 개발 실패 약물과 정보도 올려놓아 re-purposing연구가 가능하도록 했는데, 이런 것들이 잘 된다면 궁극적으로 환자를 위한 일이 된다.(e.g. cancer &8211; rare lung disease)

 

AZ는 또한 표적치료제 연구개발에 포커스를 맞추어 기존에 약 하나 대 질환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던 임상을 떠나, 약이 잘 들을 수 있는 환자군(sub-population)을 미리 예측하고 선별해서 그 환자군에 가장 잘 들을 것으로 기대되는 약을 선별 후 임상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이 경우 그 환자군은 전체 질환 환자의 매우 작은 %만 해당하므로 대부분의 스크리닝된 환자는 매칭되는 약이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겟이 다른 여러 개의 약을 놓고, 스크리닝된 환자를 그 중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 되는 약과 매칭을 시키는 새로운 임상 방법인 바스켓 트라이얼을 삼성병원과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올 해 시작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흔치 않은 일로 현재 연구개발 포커스와 매우 부합하며 한국의 연구 역량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글로벌 빅파마의 연구개발 저력과 장단점은

 

=글로벌 빅파마라 불리는 회사들의 지난 10여년 동안의 전반적인 트렌드는 M&A를 통한 파이프라인 확충과 새로운 modality 확보 등으로 R&D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현재는 회사들이 선택과 집중을 통해 개발 실패를 줄이고(예: AZ-BMS diabetes franchise), 초기물질 라이센싱으로 미래 파이프라인을 공급하는 전략에 중점을 두는 추세로 보여 진다.

 

AZ의 장점은 선택과 집중, 특히 이미 말씀 드린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과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이 장점이다.

 

SCRIP award의 Best Partnership Alliance, 2010년부터 4년 연속 수상이 그 좋은 실례다.(e.g. BMS와 co-dev diabetes franchise &8211; acquisition, MRC/NIH와의 program을 통해 실패한 약의 새로운 적응증 확보)

 

-빅파마들의 신약후보물질 탐색 업무 소개와 우리의 대응은

 

=물질 라이센싱이 점점 초기 단계로 가고 있기 때문에 더욱 과학적 메리트를 염두에 두고 향후 연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의 경우 역량이 높고, 계속 발전 중이며, 물질의 수준도 예전 보다 많이 좋아졌다.

 

질병 메카니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및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가 다소 약한 점은 더 발전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솔직한 대화와 서로의 니즈를 맞추기 위한 노력도 매우 중요하다.

 

-국내 제약사의 연구개발시스템 장단점은

 

=우수한 인력을 계속적으로 영입하고 있고, 신약 개발에 대한 열정이 크며, 연구 수준도 매우 높아져서 글로벌 빅파마들도 매우 관심있게 지켜보고 크다.

 

심오한 이해가 가능한 치료분야를 선택해 집중 투자를 할 수 있는 리더십 그리고 질환과 관련된 바이올로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에 대한 투자가 더 이루어지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산학연 협력 분야는 상당 부분 발전해 있으며, 국내를 넘어 글로벌 콜라보레이션으로 확대되면 좋을 것이다.

 

-국내 제약사의 신약개발 수준과 글로벌 진출 가능성은

 

=수준이 매우 우수하다. 몇몇 선례들도 있었고, 매우 근접한 예도 많다.

 

신약 R&D의 경우, 정부의 지원(KDDF, oncoVenture)등은 세계적으로도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는 부분이다.

 

특히 항암분야에서 병원의 인프라와 임상 연구자들의 수준도 높아 연구협력이 잘 된다면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시점에서 국내 제약사들의 신약개발 전략 로드맵은

 

=예전 보다 많이 발전했다고 생각하고, 국내사가 가지고 있는 인프라에 국한 하지 말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산학연 협동을 최대로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필요한 경우 글로벌 회사와의 협력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글로벌 제약사끼리도 협력함. 서로의 장단점을 찾아서 보완할 수 있는 win-win전략을 구사)

 

특히 이런 협력을 위해서는 규모적으로나 시기적으로 한국 제약사 각각이 글로벌 맵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지 결정하고, 신약을 개발하겠다면 집중 할 질환 분야와 연구개발 단계를 찾아야 하고, 필요한 만큼(있는 만큼이 아니라) 투자해서 그 분야와 단계에서의 회사의 능력과 관심을 널리 알리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 생각한다.(예: "저 회사는 GPCR 잘하는 회사"로 각인)

 

-특허 종말시대. 국내사의 바이오이약품 분야 대응은

 

=특허 때문이라기 보다는 modality가 다양해 진다는 의미로 봐야 할 것이다. 이것은 약을 만들 수 있는 target이 더 다양해 진다는 이야기 인데, 빅파마들은 small molecule 회사 였기 때문에, biologics를 또는 siRNA를 이용하기 위해 M&A 활동 등을 활발히 벌였다.

 

현재는 siRNA, mRNA, miRNA, peptide, Ab-drug conjugate등 매우 다양한 modality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빅파마들이 특정 modality에 집중을 하고 있다기 보다는 각 drug target 마다 가장 적절한 modality를 선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된다.

 

특히 최근 immune-oncology의 급속한 발전으로 Ab-SM등 modality가 다른 약물의 combination도 많이 연구되는 부분인데, 이는 각각의 약에 대한 MoA와 ADME등 physiology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연구하기 힘든 부분이다 &8211; 따라서 질환, target, MoA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제약 CEO들에게 한마디

 

=어떤 약을 어떻게 만들지에 대한 목표를 뚜렷하게 갖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어떻게의 의미는 질병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자들의 니즈를 파악해 자신 있는 분야에 집중 하는 것을 말한다.

 

 

 

 

 

의약품 연구개발 제조전문 기업 - 한국콜마(의약품, 화장품)

총 0 건의 게시글

독자의견

작성자 제목 등록일 조회

 

 

팜아카데미 -진행 중인 이벤트 한 번에 확인하기!

Bayer -세계 판매 1위 엘레비트(임산부용 멀티비타민)재출시

 

 

"에볼라 창궐 국내 무방비"…국제행사

"40대 이하 치매환자 40%…노인성 질환

"한국 결핵발생률 OECD 1위 불명예 이유

목·허리 '디스크' 5년새 21%↑…총진료

"범부처신약개발사업, 특정인 전횡에 결

 팜리쿠르트  더보기

 

바이엘코리아(주) Medical Representa

한국 산도스 주식회사 PV –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