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rmland Fund

종합상사들이 농수산물에 꽃힌이유 머투 2011.9.29

Bonjour Kwon 2011. 9. 29. 10:46

- 애그플레이션 시대...곡물값 랠리
- 대우인터내셔널, 인도네시아 야자 농장 인수
- 현대종합상사, LG상사도 농장 인수해 경작
- "육류 소비 증가로 가축용 사료 수요 확대...곡물값 더 오를 것"


농산물 주도의 물가 상승을 뜻하는 '애그플레이션'(Agflation) 시대를 맞아 종합상사들이 곡물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종합상사, 농장 경영 붐=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우인터내셔널은 최근 최근 인도네시아 야자 농장 전문 개발업체인 '피티 바이오 인티 아그린도'(PT. Bio Inti Agrindo)의 지분 85%를 인수하고 인도네시아 파푸아주 소재 3만6000㏊ 규모의 야자 농장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대우인터내셔널은 도로 등 사회간접자본(SOC) 공사를 마친 뒤 2015년부터 야자수를 짜낸 만든 기름인 '팜오일'을 연간 12만톤씩 생산할 예정이다. 팜오일은 친환경 대체에너지인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대우인터내셔널은 또 캄보디아에서 쌀과 콩 농장 개발도 추진 중이다. 대우인터내셔널은 총 2만6000㏊ 규모의 캄보디아 농장에서 2013년부터 연간 14만톤의 쌀과 콩을 생산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최근 생활산업사업부 내 식량자원 태스크포스(TF)를 만들고 본격적으로 곡물 중개사업에 뛰어들었다. 삼성물산은 우선 최대 곡물시장인 미국을 타깃으로 삼고, 농수산물유통공사(aT) 한진 STX 등과 함께 시카고에 합작법인 aT그레인컴퍼니를 설립했다. 삼성물산은 이 합작법인에서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올해 중 국내에 콩 5만톤, 옥수수 5만톤을 수입해 판매할 계획이다.

현대종합상사는 2009년 계열사 현대중공업이 인수한 러시아 연해주 소재 1만㏊ 규모의 현지 농장에서 콩과 옥수수를 재배하고 있다. 현대종합상사는 경작 면적을 현재 3500㏊에서 조만간 4000㏊으로 넓힐 계획이다.

LG상사도 2009년 1만6000㏊ 규모의 인도네시아 야자 농장을 인수했으며 현재 팜오일 가공 공장을 건설 중이다. 내년말 공장이 완공되면 연간 4만톤의 팜오일을 생산하고, 향후 8만톤까지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다.

STX그룹에서 종합상사 역할을 맡고 있는 지주회사 STX도 곡물 사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보고, 러시아 몽골 동남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지에서 투자처를 물색하고 있다.

◇"농산물 가격 더 뛴다"= 종합상사들이 곡물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애그플레이션'이 본격화되면서 곡물시장의 규모가 빠르게 불어난 때문이다.

'애그플레이션'이란 농업을 뜻하는 '애그리컬처(agriculture)'와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로, 곡물가격이 급등하고 이에 따라 전체 물가도 상승하는 현상을 뜻한다. 최근 중국 등 신흥국의 육류 소비 증가로 가축 사료용 곡물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투기 수요까지 가세하면서 곡물 가격이 크게 뛰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따르면 가축 사료로 주로 쓰이는 옥수수 11월 인도분 가격은 지난 6월말 부셸당 6.1달러에서 13일 7.1달러로 16% 뛰어올랐다. 밀 11월 인도분 가격은 6월말 부셸당 6.1달러에서 13일 6.9달러로 13%, 콩 11월 인도분 가격은 6월말 부셸당 13.1달러에서 13일 13.8달러로 5% 각각 상승했다. 부셸은 옥수수의 경우 25kg, 밀과 콩의 경우 27kg에 해당한다.

지난해 급등했던 국제 농산물 가격은 올 상반기 안정세를 보이다 유럽과 미국의 재정위기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이 본격화된 시작된 지난 7월 오름세로 돌아섰다.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서 이탈한 투기자본 가운데 일부가 국제 곡물시장으로 유입됐다는 분석이다.

농업 전문가는 "개발도상국의 식습관 고급화로 육류 소비가 늘어나면서 가축용 사료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식용 곡물의 공급이 모자란 상태가 됐다"며 "앞으로 이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점에서 곡물 가격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 중심의 국제 질서가 불안해지는 경우 식량자원이 전략화되면서 곡물의 가치가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