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욱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1일 "퇴직연금이 물가상승률 이상의 수익률을 올리려면 부동산 투자가 허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김 연구위원은 `퇴직연금의 부동산 투자 필요성과 그 가능성`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부동산은 생활물가를 반영하는 인플레이션 헤지 상품인데다 채권이나 일반주식 수익률과도 상관관계가 낮아 분산투자 측면에서도 유용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내 퇴직연금은 2011년 11월말 기준 운영규모가 41조원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물가상승률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수익률을 보이는 실정이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전체 퇴직연금의 72.5% 비중을 차지하는 확정급여형(defined benefit)의 경우 4대 은행의 원리금보장 수익률은 간신히 1%를 넘어섰다.
이처럼 저조한 수익률의 원인으로 김 연구위원은 퇴직연금 자산의 92% 이상이 원리금보장상품에 투자돼 있을 정도로 안전자산 선호추세가 강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퇴직연금의 목적인 퇴직 후 구매력 유지를 위해서는 원리금보장보다 인플레이션을 충분히 헤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며 "해외 퇴직연금은 자산의 상당 부분을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의 공무원 퇴직연금(ABP)은 현재 2350억달러를 운용하며 자산의 9.2%를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다. ABP의 지난 19년간 연평균 명목수익률은 6.7%이며 인플레이션을 차감한 실질 수익률은 4.75%로 목표 수익률을 1.4%나 웃돌았다.
문제는 현재 국내 퇴직연금 제도로는 부동산 직접 투자는 불가능하다는 점.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이 총 자산의 50% 이하로 부동산펀드나 부동산투자회사 등 간접투자증권에 투자할 수 있다. 하지만 금융시장의 불안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와 국내 부동산 간접투자시장의 영세한 규모로 실제 투자는 아직 미미하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경기가 침체된 부동산이 퇴직연금의 마이너스 실질 수익률을 개선할 투자처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며 "하지만 해외의 사례를 보면 국내 퇴직연금의 부동산 직.간접투자의 허용과 규모의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방영덕 기자]
'부동산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소 "부동산ETF 준비중…亞 자산관리 허브로"부동산 관련 ETF를 상장하고 연말부터 등장하는 액티브 ETF를 활성화할 것” (0) | 2016.10.14 |
---|---|
신아파트지수.부동산파생상품 물꼬.한국거래소'한국판 케이스실러 지수' 개발 지역·면적·브랜드별 아파트값 '기준선' 역할.내릴땐 선물팔아 위험회피 (0) | 2015.11.24 |
Dow Jones U.S. Real Estate Index Fund (0) | 2012.02.01 |
美부동산ETF 연계 DLS 공모2009/06/16 파이낸셜뉴스 (0) | 2012.02.01 |
미국 부동산ETF소개 2009.0831 (0) | 2012.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