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인베스트먼트와 포스텍기술투자, 한화기술금융이 공동 무한책임사원(GP)을 맡은 'KoFC포스코한화KB 동반성장 제2호 사모투자전문회사(이하 동반성장 PEF)'가 16일 공식 출범한다. 동반성장 PEF는 한화와 포스코의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건당 100억~2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할 방침이다.
2000억원 규모의 동반성장 PEF에는 한국정책금융공사(800억원)와 KB국민은행(400억원), 대한생명(400억원), 포스코(200억원)가 유한책임투자자(LP)로 참여했다. 메인 GP인 KB인베스트먼트는 100억원, 포스텍기술투자와 한화기술금융은 각각 50억원씩을 출자했다. 만기는 8년이다.
동반성장 PEF의 GP들은 지난해 초부터 '상생'을 테마로 한 펀드 결성을 추진했다. 대기업과 협력사 간의 상생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시점이었다.
이들은 포스코와 한화라는 안정적인 매출처를 확보한 협력사에 지분투자 형식의 금융지원을 제공해 투자 수익과 사업적 시너지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모기업을 설득했다.포스코와 한화의 사업영역이 중복되지 않아 다양한 투자처를 발굴할 수 있다는 것도 강점이었다.
하지만 상호출자제한 이슈가 걸림돌로 작용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포스텍기술투자와 한화기술금융이 계열사로부터 자금을 출자받아 펀드를 조성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
포스텍기술투자와 한화기술금융은 KB인베스트먼트가 메인 GP를 맡도록 해 돌파구를 마련했다. KB인베스트먼트는 GP들 중 가장 많은 금액을 출자하고 KB국민은행을 LP로 영입했다. 대표펀드매니저는 KB인베스트먼트 유석훈 이사가 맡았다.
GP들은 지난해 말 LP들로부터 출자를 확약받고 펀드 결성을 마무리했다. 중소 연기금들로부터 멀티클로징을 통해 펀드 규모를 확대하자는 제의가 있었지만 앵커 LP인 한국정책금융공사 정관에 따라 당초 예정된 2000억원 규모로 펀드를 최종 클로징하기로 결정했다.
동반성장 PEF는 금융감독원 등록이 완료될 오는 3월부터 본격적인 투자 활동에 나설 전망이다. 설비 증설을 위한 자본 확충이나 프리 IPO(상장전 지분투자), 인수합병(M&A)을 위한 재무적투자자(FI)를 필요로 하는 업체들이 투자 대상이다.
GP들은 협력사에 자금을 지원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컨설팅 활동을 통해 피투자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회계·법률·HR(Human Resource) 법인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외부 자본유치를 원하지 않는 우량 협력사들이 많아 딜소싱(Deal Sourcing)에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사실상 가족기업의 형태를 띠고 있고 현금흐름이 안정적이라 지분율을 희석시키거나 기업공개(IPO)에 나설 필요가 없는 기업들이 상당수라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한화기술금융 관계자는 "신성장동력 발굴에 나선 포스코와 한화그룹의 협력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들이 설비 증설이나 M&A를 위해 자본확충에 나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에 딜소싱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KB인베스트, 1000억 규모 벤처펀드 조성 추진
2012-02-21 18:
이 기사는 02월16일(10:1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KB금융지주 계열 벤처캐피털인 KB인베스트먼트(대표 김한옥, 이하 KB인베스트)가 총 1000억원 규모의 벤처투자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16일 벤처캐피털 업계에 따르면 KB인베스트는 이르면 다음달 중으로 KB금융 계열사들로부터 자금을 유치해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KB금융지주·국민은행·KB저축은행(구 제일저축은행) 등이 주요 출자자로 나설 전망이다.
KB인베스트가 조성할 예정인 펀드는 최대 10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현재 국내에서 조성된 1000억원 이상의 대형 벤처펀드는 △업계 1위 스틱인베스트먼트가 2006년 조성한 17호 조합(1850억원)과 △유한책임회사(LLC) 프리미어파트너스가 2010년 조성한 조합(1000억원) 정도다.
이번 펀드는 조합을 먼저 결성한 뒤 투자처를 물색하는 블라인드펀드(Blind Fund)다. 투자가 결정될 때마다 출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 투입하는 캐피탈 콜(Capital Call) 방식으로 운용될 전망이다. 조합규모가 1000억원에 육박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투자건당 평균투자금액은 30억~5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KB인베스트가 이례적으로 대규모 벤처펀드를 조성하는 배경에는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의 의지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 회장은 'KB'라는 브랜드를 가지고 운용하는 만큼 앞으로 대규모 펀딩 및 투자를 통해 업계 '리딩컴퍼니'로 발돋음할 것을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KB인베스트는 벤처캐피털 업계에서 상위권 운용사 중 하나로 손꼽히지만 △운용자산(AUM) 규모 △투자집행 규모 △조합수익률 등의 부문에서 1위 업체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최근 들어 사모투자(PE)본부를 강화하며 운용자산 1조원을 돌파, 업계 선두인 스틱인베스트먼트를 추격하는 상황이다.
KB인베스트 관계자는 "현재 KB계열사들을 조합 출자자로 참여시켜 대형 벤처펀드를 조성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벤처 및 PE본부를 강화하기 위해 앞으로 인력을 충원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동혁 기자 otto83@hankyung.com
'■ PEF'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M인베스트 "PEF, 벤처투자 대안될 것2012.02.22 머니 (0) | 2012.03.02 |
---|---|
PEF들, GTT 인수전 물밑경쟁2012-03-01 한경 (0) | 2012.03.02 |
행정공제회, 800억 규모 PEF 출자2012.01.12 (0) | 2012.01.30 |
한국 사모펀드(PEF), 대기업 대출창구로 전락하나2012.01.26 인베스트조선 (0) | 2012.01.27 |
행정공제회, 800억 규모 PEF 출자2012.01.12 (0) | 201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