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프로그램, 글로벌시장형 창업사업화 R&D
사업개요
- 투자 및 보육역량을 구비한 엔젤투자사, 기술대기업,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을 운영사로 선정 후 운영사의 투자를 통해 발굴된
창업팀에게 엔젤투자·보육·멘토링과 함께 정부의 기술개발자금 등을 매칭방식으로 지원
지원규모 : R&D 자금 590억원 (연계지원 : 창업사업화 90억원, 해외마케팅 60억원)
지원대상
- 「중소기업창업지원법」제2조 제2호에 따른 (예비)창업팀으로 창업하여 사업을 개시한 날로부터 7년이 지나지 않은 중소기업도 포함
지원내용
- 운영사의 엔젤투자금(1억원 내외)에 정부의 기술개발(R&D)자금(최대 5억원)을 매칭하여 지원하고, 선정평가를 통해
창업사업화 자금(최대 1억원 차등 지원), 해외마케팅(최대 1억원), 엔젤투자매칭펀드(최대 2억원)를 추가하여 연계지원 - 운영사별로 지정된 인큐베이터에 입주하여 보육 및 멘토링 등 종합적인 밀착 지원
연락처
- 한국엔젤투자협회(02-3440-7425, 7404)
-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과(042-480-4413)
- 창업진흥원 TIPS글로벌사업부(02-3440-7303,7305) http://www.kised.or.kr/default.asp
![](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1412/01/moneytoday/20141201161109139.jpeg)
중기청 팁스(TIPS) 벤처창업 Program 중기청 팁스(TIPS) 벤처창업 Program : 운영기관이 최소 1 억원을 스타트업(초기기업)에 투자하면 중기청이 추가로 최대 9 억원을 지원하는 창업지원 프로그램 삼성, 중기청 팁스(TIPS) 운영기관 참여 고려 대기업의 엔젤투자 참여 신호탄 삼성이 중소기업청이 운영하는 이스라엘식 창업지원 프로그램 팁스(TIPS) 운영기관으로 참여하는 걸 적극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newsid=20141201160608812 중소기업청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삼성벤처투자는 팁스 운영기관 신청과 관련해 관련 부처인 중기청에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벤처투자 관계자는 "현재 외부로 공개할 수 있는 내용이 없다" 팁스는 운영기관이 최소 1억원을 스타트업(초기기업)에 투자하면 중기청이 추가로 최대 9억원을 지원하는 창업지원 프로그램이다. 팁스는 중기청이 이스라엘의 기술창업보육센터 프로그램(TI)을 벤치마킹해 지난해 8월부터 시행해왔으며 지금까지 이택경 다음 창업자가 운영하는 프라이머,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케이큐브벤처스 등 성공 벤처인이 운영하는 엔젤투자사 10곳이 운영기관으로 참여중이다. |
------
중기청 TIPS 운영사 코맥스벤처러스 선정
변우석 대표 “스타트업 글로벌화 전폭 지원”
㈜코맥스는 자회사 ㈜코맥스벤처러스가 중소기업청의 TIPS(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운영사로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팁스는 2013년부터 시작된 창업 육성 프로그램으로 민간주도형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이다. 정부가 엔젤투자사를 창업기업 인큐베이터 운영사로 선정하면 엔젤투자사에서 투자를 통해 추천한 창업팀을 정부가 선별해 연구개발을 매칭하고 운영사의 보육센터 입주시켜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코맥스벤처러스는 지난 4월 코맥스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시너지 기반 성장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설립한 자회사다. ‘스타트업과 함께(Venture + US)’, ‘스타트업의 친구로써(Venturer’s)’, ‘스타트업다운 방식으로(Venture+ous)’ 스타트업과 강소기업의 협업 모델을 개발하고 스타트업의 기술과 아이디어를 사업화해 4차 산업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목적이다.
성남 소재의 코맥스벤처러스 인큐베이션 센터에서는 창업자들이 자유롭게 서비스를 개발하고 시제품 제작 및 시범 생산을 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자본시장 인프라 구축의 주역인 코스콤과 협업해 여의도에 핀테크 브랜치(Fintech Branch)도 운영할 예정이다.
이곳에서는 스타트업이 자유롭게 핀테크 관련 기술을 테스트하고 개발할 수 있으며, 핀테크 지원센터(판교), 핀테크 테스트베드센터(여의도), 핀테크 프라자(부산) 등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해 효율적인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변우석 ㈜코맥스벤처러스 대표이사는 “벤처 1세대, 창업 50주년, 글로벌 코맥스의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함께 성장하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한다”며 “우수 기술을 겸비한 국내 스타트업이 글로벌 Home IoT & Fintech 생태계 내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
삼성, 중기청 팁스(TIPS) 운영기관 참여 고려
방윤영| 이해진 기자 입력 2014.12.01.[머니투데이 방윤영기자][대기업의 엔젤투자 참여 신호탄 가능성]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지역내 창조경제 활성화에 나선 삼성이 중소기업청이 운영하는 이스라엘식 창업지원 프로그램 팁스(TIPS) 운영기관으로 참여하는 걸 적극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일 중소기업청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삼성벤처투자는 팁스 운영기관 신청과 관련해 관련 부처인 중기청에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팁스 운영기관은 주로 성공 벤처인이 운영하는 엔젤투자사 위주였으나 대기업인 삼성이 참여할 경우 창업 생태계에 큰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관련 삼성벤처투자 관계자는 "현재 외부로 공개할 수 있는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팁스는 운영기관이 최소 1억원을 스타트업(초기기업)에 투자하면 중기청이 추가로 최대 9억원을 지원하는 창업지원 프로그램이다. 팁스는 중기청이 이스라엘의 기술창업보육센터 프로그램(TI)을 벤치마킹해 지난해 8월부터 시행해왔으며 지금까지 이택경 다음 창업자가 운영하는 프라이머,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케이큐브벤처스 등 성공 벤처인이 운영하는 엔젤투자사 10곳이 운영기관으로 참여중이다.
중기청 관계자에 따르면 3기 팁스 운영기관은 내년 1월 공고를 거쳐 2월쯤 선정될 예정이다. 그동안 중기청은 팁스 운영기관을 매년 5개씩 선정해왔다.
고영하 한국엔젤투자협회장은 "팁스는 죽음의 계곡에 빠진 기업들을 위한 지원금인데 현재 10개 창업투자사만 참여하고 있어 역부족"이라며 "삼성과 같은 대기업이 합류한다면 자금 지원과 더불어 추후 후속투자, M&A(인수합병)도 가능해 창업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은 지난 9월 박근혜 대통령이 대구를 방문해 삼성이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를 전담 지원, 창업벤처 및 중소기업 육성 등 지역 내 창조경제 생태계를 활성화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발표한 이래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내에 창업 멘토지원 공간인 'C-랩(Lab)'을 운영하고 대구시와 공동으로 200억원 규모의 청년창업 펀드를 조성하는 등 다양한 벤처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또한 'C-Lab 벤처창업 공모전'을 통해 초기 지원금 2000만원을 포함, 선발팀 당 최대 5억원까지 투자하고 '삼성벤처파트너스데이'를 통해 대구·경북지역의 스타트업에게 향후 5년 간 1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중소기업청도 최근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와 우수 기술·아이디어의 사업화 및 창업·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삼성의 C-랩 프로그램을 중기청의 팁스와 연계해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삼성 외에 또 다른 대기업 2~3군데도 팁스 운영기관에 큰 관심을 보이며 중기청에 접촉한 것으로 알려져 적은 자본을 가진 창업투자사로 이뤄진 현재의 엔젤 투자 환경에 큰 변화가 일 것으로 예상된다.
--------------------------
기술집약적 창업 활성화로‘창업의 質’높인다
◈ 주영섭 청장, 설 연휴 앞두고「팁스 타운」방문하여 청년
- 금년 470억원 투입, 신규 130개 팁스 창업팀 지원 -
|
□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2월 4일(목) ‘팁스(TIPS)* 타운’을 방문하여
설 연휴를 앞두고 창업 일선에서 역동적으로 기업 활동에 매진하고 있는 창업기업들을 격려하고 ‘2016년 TIPS 지원계획’을 발표하였다.
* 팁스(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지원
1. 설을 맞이하여 창업 현장을 찾아 기술집약 청년 창업가들 격려
□ 주영섭 청장은 “기술기반 창업은 국부 창출의 핵심 동력으로 창업가들 개개인의 노력이 청년 취업의 대안을 만들어 내는 중요한 것”임을 강조하고,
◦ “정부도 우수 기술인력을 통한 융복합 창업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여 글로벌 성공사례를 반드시 만들어 내도록 적극 돕겠다”고 말하며,
◦ “TIPS 타운을 중심으로 고급기술 창업가와 벤처투자가들이 밀집한 창업환경을 지속 조성하여 강남 역삼 일대를 기술집약적 창업 활성화가 가능한 ‘아시아 벤처창업 메카’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 중기청장 현장방문 주요일정
▸ (일시 및 장소) 2.4(목) 09:30~10:10, TIPS 타운(서울 역삼동 소재)
▸ (주요 활동) 현황 보고, 운영사의 글로벌 창업기업 지원현황 점검, |
2. 2016년 TIPS 프로그램 지원계획 발표
① TIPS 창업팀에 정부 지원예산 전년 대비 2배 이상 투입 (470억원)
- 기술개발(R&D) 지원 예산을 410억원 (‘15. 240억원)으로 확대하고, TIPS 창업팀의 글로벌 진출 전용예산 60억원을 신설하는 등 유망 창업팀에 대한 ‘선택과 집중’ 강화
② 신규 130개 창업팀을 발굴하여 창업기업 지원을 전체 260개로 확대
- 고용창출 효과가 큰 기술집약적 제조 창업기업 선정 비율을 50%까지 확대하고, 창업기업의 기술료 부담을 10%로 대폭 완화
* 제조 창업팀 비율 : ‘15. 36% → ’16. 50%, 기술료 부담율 : ‘15. 40% → ’16. 10%
※ 창업팀 신청 문의 : 02-3440-7421~5 또는 www.jointips.or.kr 접속 |
③ 창조경제혁신센터, 기술대기업 등 6개 운영사를 신규 선정
-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활용하여 지방 유망 창업기업 발굴을 활성화하고, 대기업의 대형 유통망과 우수한 해외 네트워크를 보유한 기술대기업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의 참여를 적극 확대
* TIPS 운영사 선정 : ‘15. 21개 → ’16. 27개
□ 한편 중기청에 따르면 정부 지원 2년만에 TIPS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받은 창업팀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어,
◦ 현재 133개 창업팀 중 91개 창업팀(전체 71%)이 글로벌 시장 진출 중(해외법인 설립, 협력제휴 등)이고, 34개팀이 1,114억원 투자 유치, 인수합병(M&A) 2팀 110억원 등 우수한 성과를 시현 중에 있다.
* (창업팀 현황) 교수․의사 등 전문직과 기술대기업 출신(삼성, 애플 등) 등 이공계 고급 기술인력이 전체 82%를 차지
![]() | ![]() |
【사례1, 만나씨이에이】 ☞‘13년 창업, ‘14년부터 TIPS 지원
▸ (기업소개) 카이스트 출신의 대학생 창업기업으로 첨단 식물공장 농업관련 특허 7건을 기반으로 어류를 이용한 아쿠아포닉스 장치를 식물재배에 적용하여 유기농 작물을 생산하는 기업
▸ (사업내용) 기존 수경재배 방식에 ICT기반 환경제어기술을 접목한 식물 공장형 유기농 공법으로 연중재배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 후 고부가가치 작물 재배, 시설장비 양산화 및 해외진출 모색
☞ 투자유치 110억원 (DSC 인베스트먼트, 카카오 등) |
【사례2, 망고플레이트】 ☞‘13년 창업, ‘14년부터 TIPS 지원
▸ (기업소개) 네이버, 카카오, 애플 등 국내외 주요 IT개발자 출신들이
▸ (사업내용) 빅데이터 기반 분석 및 알고리즘 구현기술을 적용한 사용자 맞춤형 맛집 추천 서비스 기술을 개발(150만 다운로드(‘15.6), 2,000개 맛집 데이터베이스 구축)
☞ 투자유치 75억원 (소프트뱅크벤처스, 퀄컴벤처스 등) |
□ 주영섭 청장은 “앞으로도 TIPS 프로그램에 기술개발(R&D), 글로벌 마케팅 등 정부 지원을 대폭 확대하여 우리 경제의 활력을 찾는데 TIPS가 핵심 첨병이 될 수 있도록 민간과 합심하여 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청 공고 제2017 - 29호
2017년도 팁스 (TIPS) 프로그램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창업팀 지원계획 공고
글로벌 진출을 지향하는 창업팀 육성 및 고급인력의 기술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 2017년도 팁스 (TIPS) 프로그램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과제) 창업팀 지원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창업팀은 안내에 따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2017년 1월 19일
중 소 기 업 청 장
1. 사업개요 |
|
□ 사업목적
◦ “ TIPS 프로그램”은 성공벤처인, 선도벤처 등 민간이 주도하는 액셀러레이터 (엔젤투자‧보육 전문회사)를 통해 유망 기술창업팀을 선별하고, 엔젤투자와 연계한 정부R&D 등 지원을 집중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향하는 창업팀을 육성하고, 기술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
* 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 사업내용
◦ 엔젤투자 및 보육역량을 구비한 액셀러레이터를 운영사로 선정한 후 운영사의 투자를 통해 발굴된 유망한 기술창업팀에게 엔젤투자․보육․멘토링과 함께 정부의 R&D자금 등을 매칭 방식으로 지원
TIPS 운영사란? |
|
| |
◦ 엔젤투자 재원을 보유하고 창업팀 선별, 투자, 보육 등 지원역량을 갖추고 있는 엔젤투자회사, 재단, 초기전문 벤처캐피탈, 선도벤처‧기술대기업 등으로
- 유망한 창업팀을 발굴․선별하여 엔젤투자와 보육, 멘토링하는 기관
◦ TIPS 운영사의 투자 및 추천을 통하여 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 공고일 현재 29개 운영사 지정 (www.jointips.or.kr : ABOUT TIPS - PARTNERS 참고)
※ TIPS 운영사는 단순 접수처가 아닌 사업가능성이 높은 창업팀을 엄선‧투자하는 기관임
|
2. 지원 개요 |
|
□ 지원 규모 : 740억원 (기술개발자금 + 창업사업화․해외마케팅 지원)
□ 지원 내용
◦ 운영사의 엔젤투자금 (1억원 내외)에 정부가 기술개발자금 (최대 5억원)을 매칭하여 지원하고, 창업사업화 자금 등을 추가 연계
- 엔젤투자는 창업팀 기술분야 등에 따라 운영사와 창업팀 간 자율적 협의로 진행되며, 정부 지원금은 이와 연동하여 지원
- 추가 연계지원은 세부사업별 요건 및 평가결과에 따라 지원여부 및 금액을 결정
* 운영사의 투자가 취소되는 경우 정부지원금 매칭 지급도 중단
< 창업팀 지원내용>
보육 기간1) | 지원내용 | ||||
엔젤투자금2) (운영사) | 기술개발자금 (A+B) | 추가 연계지원 | |||
정부 지원(A) | 민간부담금(B) 3) | ||||
현금 | 현물 | ||||
최대 3년 | 1억원 내외 (정부가 지원하는 기술개발자금(A)의 20% 이상) | 최대 5억원 | 해당금액 | 해당금액 | • (창업사업화) 최대 1억원
• (해외마케팅) 최대 1억원
• (엔젤매칭펀드) 최대 2억원 |
기술개발자금의 80% 이내 | 기술개발자금의 20% 이상 (현금은 민간부담금의 50% 이상) |
1) 정부지원이 매칭되는 보육기간은 2년이며, 생명과학(BT) 등 장기과제는 최대 3년까지 지원
2) 엔젤투자금은 운영사가 투자기업 (창업팀)의 지분 확보를 조건으로 지급
(다만 운영사의 지분율은 30% 이하로, 창업팀의 경영권 보장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인정)
3) 민간부담금 중 현금은 운영사의 엔젤투자금으로 부담 가능
◦ 운영사가 보육·멘토링, 글로벌 진출 등을 종합 지원
- 최종 선정된 창업팀은 운영사가 지정하는 인큐베이터*에 입주하여 운영사의 보육 및 멘토링 지원을 받음
* 인큐베이터는 운영사의 자체 보유공간 또는 협력기관 (운영사 컨소시엄) 보유공간
3. 지원 대상 |
|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으로 창업하여 사업을 개시한 날로부터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이며 아래 요건을 충족하여야 함
* (기준) ① 창업 :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2조 ② 업력 : 해당 평가 월의 추천마감일
① TIPS 운영사로부터 투자 (확약) 및 추천을 받은 창업팀 또는 예비*창업팀 (2인 이상으로 구성)
* 기관 (대학·연구기관 등) 또는 기업에 소속된 상태로 창업을 희망하는 경우 법인등록을 하지 않은 상태로 사업신청 가능 (단, 최종 선정 후 반드시 법인 설립 필요)
② 창업팀이 전체 지분의 60% 이상*, 운영사 지분율은 30% 이하
* 운영사가 해당 창업팀을 추천한 날 기준이며, 창업팀 최종 선정 후 협약체결일까지 창업팀의 지분이 60% 이상을 유지하여야 함
③ 창업팀이 희망할 경우 대학 또는 연구기관 등도 위탁연구기관으로 참여 가능
□ 추가 연계지원은 상기조건 외 별도로 아래 기본요건을 충족하고, 별도 평가를 통해 선정될 경우 지원 가능 (창업사업화, 해외마케팅 지원의 경우 자부담 존재)
◦ 창업사업화 자금 : 업력 3년 이하, 대표자 또는 해당 기업이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을 기지원을 받은 실적 (5천만원 이상*)이 없는 경우
* 지원실적이 5천만원 미만인 경우는 기지원금을 제외한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
◦ 해외마케팅 자금 : 해외 Top-tier 액셀러레이터 평가 통과, 크라우드 펀딩, VC투자 유치 등 글로벌 진출 경쟁력을 증빙한 창업팀
* 자세한 선정절차 및 요건은 향후 팁스 선정 창업팀을 대상으로 별도 공지 예정
◦ 엔젤투자매칭펀드 : 기업가치 (post-money 기준) 50억원 이하로,
업력 3년 미만 또는 직전연도 매출액 15억원 이하면서 연구개발비가 매출액의 5%이상 (매출액 5억원 미만 시 연구개발비가 2,500만원 이상)
※ 연계사업별로 보다 상세한 요건은 개별 사업의 운영규정을 따름
4. 지원 분야 |
|
※ 운영사가 창업팀 추천 시, 창업팀 사업계획서에 아래의 분야․품목을 기재하여 제출
① 자유공모 : 창업팀이 희망하는 기술 및 업종으로 특정분야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제안 (아래 품목지정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② 품목지정 :「2016년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전략제품 리스트의
40대 전략분야, 266개 유망품목 (별도 공지)
< 전략분야 및 유망품목 현황 >
분야 | 전략분야 | 품목(개) | 분야 | 전략분야 | 품목(개) |
신산업 (20대) | 데이터 인텔리전스 | 6 | 주력 산업 (20대) | 자동차/철도 | 6 |
스마트홈 비즈니스 | 6 | 조선 | 5 | ||
차세대방송통신 | 9 | 플랜트엔지니어링 | 6 | ||
스마트미디어기기 | 9 | 반도체 | 8 | ||
로봇 | 7 | LED/광 | 7 | ||
콘텐츠 | 6 | 디스플레이 | 8 | ||
차세대자동차 | 8 | 가전 | 6 | ||
항공우주 | 7 | 컴퓨팅인프라 | 7 | ||
생활안전 | 6 | 임베디드SW | 6 | ||
정보보안 | 8 | 산업/일반기계시스템 | 7 | ||
지식서비스 | 8 | 정밀/마이크로기계시스템 | 6 | ||
스마트팩토리 | 6 | 에너지/환경기계시스템 | 6 | ||
바이오 | 7 | 세라믹소재 | 5 | ||
의료기기 | 7 | 화학소재공정 | 6 | ||
헬스케어 | 7 | 섬유 | 6 | ||
첨단신소재부품 | 6 | 금속소재 | 6 | ||
에너지신산업 | 7 | 생산기반 | 8 | ||
고부가소비재 | 5 | 에너지공급 | 8 | ||
화장품 | 6 | 에너지수요관리 | 6 | ||
디자인 | 6 | 에너지저장 | 6 | ||
소계 | 137 | 소계 | 129 | ||
합 계 : 266개 |
5. 창업팀 선정절차 |
|
※ 창업팀 선정은 격월 (2, 3~11월)로 진행, 예산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음
① 신청‧접수 | ▶ | ②투자심사 | ▶ | ③ 창업팀 추천 (1.5배수 이내) | ▶ | ④ 사전검토 (투자계약, 신청자격 등) |
창업팀→운영사 | 운영사 | 운영사→관리기관 | 전문/관리, 연계기관 | |||
|
|
|
|
|
| ▼ |
⑧ 추가연계 (해외마케팅 등) | ◀ | ⑦ 협약 | ◀ | ⑥ 심의조정위원회 | ◀ | ⑤ 서면/대면평가 (1배수) |
관리/연계기관 | (R&D) 창업팀-운영사- (창업사업화) 창업팀- | 전문기관 | (R&D) 전문/관리기관 |
* (관리기관) 한국엔젤투자협회, 창업진흥원 (전문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연계기관) 창업진흥원 (창업사업화, 해외마케팅), 한국벤처투자 (엔젤투자매칭펀드)
⑴ 신청․접수 (창업팀 → TIPS 운영사)
◦ 신청기간 : 상시 접수 (별도 접수기간 없음)
- 팁스 프로그램 설명회 상세일정 및 참여방법은 사이버 팁스타운 (www.jointips.or.kr)을 통하여 공지 예정
* 통합 사업설명회 : ‘17년 2월 10일 (금), 팁스타운 (서울 역삼 소재)
지역별 설명회 일정은 사이버 팁스타운을 통해 추후 공지
◦ 신청방법
- TIPS 운영사별 자체 공모 참여, 투자심사역 면담, 이메일 등 운영사에 개별 문의 (<붙임 1> 참조) 또는 사이버 팁스타운을 통해 온라인 신청
(www.jointips.or.kr : ABOUT TIPS → APPLY)
- 신청양식은 운영사별 지정 또는 창업팀 자율 양식으로 활용 가능
※ 창업팀은 TIPS 운영사 (추천권 보유 협력기관)에 복수로 신청가능하나, TIPS 프로그램에 선정되기 위한 추천은 1개 운영사에서 받아야 함
⑵ 투자심사 및 창업팀 추천 (운영사)
◦ 운영사가 자체 심사를 통해 창업팀을 발굴하여 투자여부를 결정하고 투자(확약)한 창업팀을 관리기관에 추천 (운영사별 연간 T/O범위 내)
* 창업팀 사업분야가 운영사의 전문투자분야가 아닌 경우 투자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음
◦ 추천된 창업팀은 사업계획서 등 신청서류를 과제관리시스템 (smtech) 등록
⑶ 사전검토 (전문/관리기관, 연계기관)
◦ 창업팀 기본 신청자격 (지분, 의무사항, 채무불이행, 과제의 중복성 등) 및 운영사-창업팀 간 투자계약의 적절성 등을 검토
⑷ 선정평가 : R&D, 창업사업화 (전문/관리기관, 연계기관)
◦ (서면평가) 제출 자료를 바탕으로 창업팀 역량, 기술아이템 전문성, 운영사의 투자 및 지원계획 등을 평가 후 보완사항을 운영사로 피드백
* 글로벌 시장 분석 및 진출 전략의 제시가 미흡한 경우, 대면평가 대상에서 제외
◦ (대면평가) 운영사 대표자 중심의 발표 및 질의응답을 통하여 서면평가 보완사항 등을 검토‧평가하고, 종합평점 60점 이상의 창업팀을 심의조정위원회에 최종 추천
※ 종합평점 = 서면평가 (40%) + 대면평가 (60%) + 가점 (최대 2점)* |
* 가점 : ① 지방(비수도권) 창업팀이 최종 선정 이후 협약기간 동안 해당 지역에 잔류를 확약하는 경우(확약서 제출) ② 연구중심병원 핵심연구인력이 창업한 경우
⑸ 최종 선정 : R&D (전문기관)
◦ 각 단계 평가를 모두 통과한 창업팀에 대해 ‘심의조정위원회’에서 종합평점 우선순위, 지원예산 규모 등을 고려하여 최종 선정
⑹ 협약체결 및 기술개발자금 지급, 연계지원 (관리기관, 연계기관 등)
◦ 창업팀 - 운영사 - 관리기관 - 전문기관 간 4자 협약체결 후 기술개발자금 (최대 5억원, 2년) 지급
◦ 최종 선정된 창업팀 중 선정평가 시 창업사업화 지원요건과 최종 평점을 감안하여 창업사업화 자금 (최대 1억원, 자부담 존재)을 차등 지원
◦ 또한, 연계 사업별 지원자격 검토 및 선정절차에 따라 추가 지원
5. 기술료 납부 |
|
□ 창업팀에 대한 최종평가가 “성공”으로 판정될 경우 기술개발자금에 대한 정액 또는 경상기술료 중 납부방식을 선택하여 납부
< “성공” 판정기준 (아래, 6가지 기준 중 1가지 이상 충족) >
① M&A성사 (10억원 이상), ② 기업공개 (IPO, 코넥스 포함), ③ 연간 매출액 10억원 이상, ④ 후속투자 유치 (20억원 이상), ⑤ 연간 수출액 50만불 이상 ⑥ 상시근로자수 20명 이상
|
* 실패시 창업팀의 기술료 상환부담 면제 (사업비 유용, 불성실수행 등 문제시 예외)
◦ (정액기술료) 기술개발자금의 10%를 최대 4년간 납부
◦ (경상기술료) 연구개발 성과물 관련 매출액 산정자료 제출이 가능한 경우 (전산 또는 회계프로그램 등을 사용) 5년 간 개발 결과물로 발생한 매출액의 일정비율*로 납부 (정부출연금의 12%)
* 착수기본료(성공판정 90일 이내) 정부출연금의 1%, 정률기술료 매출액의 1%
6. 지원제외 사항 |
|
□ 사업에 참여하는 자 (창업팀(주관기관), 대표자 및 과제책임자)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운영사의 창업팀 추천일 현재 사업별 의무사항 (각종 보고서 제출, 기술료 납부, 정산금 또는 환수금 납부 등)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 창업팀 선정평가 개시 전까지 해소한 경우에는 예외
②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③ 국세·지방세 체납자인 경우
* 다만, 신용회복지원협약에 따라 신용회복지원이 확정된 자와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의 재창업 자금(보증) 또는 재기지원 보증을 지원받은 기업과 중소기업 사전부실예방지원 구조개선부실예방진단을 통한 정상화 의결기업은 예외, 채무불이행액이 1백만원 이하의 경우에는 창업팀 선정을 위한 서면평가 개시 전까지 해소하거나 체납처분 유예를 받은 경우에는 예외
④ 채무를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 채무불이행 및 부실위험 여부는 운영사 추천마감일 현재 확정된 전년도 재무제표 및 신용조사 결과를 근거로 판단하되, 전년도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전전년도 재무제표를 근거로 판단
⑤ 창업팀의 자격이 신청자격에 맞지 않거나 신청과제의 내용이 사업목적, 공고내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⑥ 신청과제가 기 개발 되었거나, 이미 다른 기업이 지원받은 기술과 동일하거나, 또는 신청기업에 기 지원된 내용과 유사한 경우
- 신제품의 개발 또는 기존 제품의 고도화(계량화․기능 추가 등 포함)가 아닌 단순한 기술개발을 위한 과제는 지원 제외
7. 기타 공지사항 |
|
① 창업팀은 각 사업의 세부과제별로 1개의 과제만 신청 가능
< 2017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 세부과제 현황 >
사업명 | 내역사업명 | 세부과제명 |
창업성장 기술개발 | 창업기업과제 | 창업과제 (여성참여활성화과제 포함) |
창조경제연계과제 | ||
기술창업투자연계과제 |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TIPS)과제 | |
크라우드펀딩 연계형 기술창업지원과제 |
② 창업팀은 주관기관으로서 해당연도에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에서 이미 수행중인 과제를 포함해서 2개 과제까지만 지원받을 수 있음
*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지원 가능
① 이미 수행 중인 과제의 잔여기간이 운영사의 창업팀 추천일 현재 6개월 미만인 경우 ② ‘첫걸음협력’,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 ‘기술전문기업 협력R&D 사업’, ‘공정‧품질 기술개발사업 (舊. 제품‧공정개선)’, ‘R&D 역량제고 (舊. R&D기획역량제고)’,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경우
③ ‘05년부터 기술개발 지원사업에 주관기관으로 참여하여, 개별 중소기업당 ’졸업제‘ 사업을 총 4회를 초과하여 수행한 경우 신청 불가
* <붙임 2> 연도별 ‘졸업제’ 사업 현황 참고
④ 사업에 참여하는 자는 채무불이행 여부 등 신용조회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함
⑤ 본 공고문에서 정하지 아니하거나 변경된 사항은 아래의 법령, 요령 및 관리지침을 적용함
◦ 법 (법령) -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시행령․시행규칙 - 중소기업창업지원법․시행령․시행규칙
◦ 요령 (고시) -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운영요령 -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기술료 관리규정, 제재부과금 부과 세부기준
◦ 관리지침 - TIPS 프로그램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총괄 운영지침 - 민관 공동창업자 발굴육성 운영지침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내용 포함) |
⑥ 운영사와 창업팀 간 투자계약 (투자금, 지분율 등)은 운영사의 투자금 및 창업팀 성장을 위한 보육‧지원, 운영사로서의 사업수행을 위한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상호 간 협의로 결정함
* 다만 “창업팀 투자‧보육 운영 가이드”에 따라 부적절한 투자계약은 환류하고, 이면계약, 차명‧가장납입, 대가성 수수료 지급 등 문제 발견 시 지원 취소됨
※ 동 사업은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부)에서 지정한 『혁신도약형 R&D사업』임
□ 문의처
◦ TIPS 프로그램 및 R&D 관련 : 한국엔젤투자협회 02-3440-7421~7428
◦ R&D 관련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042-388-0340~1
◦ 창업사업화 자금 등 연계지원 관련 : 창업진흥원 02-3440-7303,5
◦ 중소기업청 창업벤처국 창업진흥과 : 042-481-8947
◦ 홈페이지 : www.jointips.or.kr / www.k-startup.go.kr
[붙임 1]
팁스 운영사 현황 (신청‧접수처)
운영사 (협력기관) |
| Homepage / e-mail |
| 전문투자분야 |
| BI 소재지 |
|
|
|
|
|
|
|
케이큐브벤처스 |
| www.kcubeventures.co.kr bplan@kcubeventures.co.kr |
| IT서비스(SW, 모바일, 인터넷) |
| 서울 |
(서울대기술지주사) |
| sth.snu.ac.kr moksh@snu.ac.kr |
| 전 산업분야 |
| 서울 |
캡스톤파트너스 |
| www.cspartners.co.kr master@cspartners.co.kr |
| 부품소재(IT, 전자부품) |
| 서울 |
(스파크랩) |
| www.sparklabs.co.kr andy@sparklabs.co.kr |
| IT서비스(SW, 모바일, 인터넷) |
| 서울 |
카이트창업재단 |
| www.kiteef.or.kr kite@kiteef.or.kr |
| 첨단제조(HW), 의료/바이오, 부품소재 |
| 서울/대전 |
프라이머 |
| www.primer.kr john@primer.kr |
| IT서비스(SW, 모바일, 인터넷) |
| 서울 |
(빅베이슨캐피탈) |
| www.bigbasincapital.com ideas@bigbasincapital.com |
| IT서비스(인터넷, IoT) 서비스융합(전자상거래) |
| 서울 |
본엔젤스 벤처파트너스 |
| bonangels.net bruce@bonangels.net |
| IT서비스(SW, 모바일, 인터넷) |
| 서울 |
더벤처스 |
| http://www.theventur.es info@theventures.co |
| IT서비스(SW, 모바일, 인터넷) |
| 서울 |
퓨처플레이 |
| www.futureplay.co apply@futureplay.co |
| IT서비스(SW), 첨단제조(IT) |
| 서울 |
쿨리지코너 인베스트먼트 |
| www.ccvc.co.kr ccvc1@ccvc.co.kr |
| 첨단제조(HW), 부품소재, IT서비스 |
| 서울 |
이노폴리스파트너스 |
| www.innollc.com jmlee@innollc.com |
| 첨단제조(HW), 의료/바이오, IT서비스 |
| 서울/대전 |
(한국과학기술지주) |
| www.kstholdings.co.kr tips@kstholdings.co.kr |
| 전 산업분야 |
| 대전 |
(벤처스퀘어) |
| medium.com/startup-nomad tips@venturesquare.net |
| IT서비스(SW, 모바일, 인터넷) 바이오 |
| 서울 |
(BNH인베스트먼트) |
| www.bnhinv.com ysjeong@bnhinv.com |
| 의료/바이오 (헬스케어, 융합 등) |
| 서울 |
㈜액트너랩 |
| www.actnerlab.com actnerlab@actnerlab.com |
| 서비스융합(웨어러블), |
| 서울 |
㈜엔텔스 |
| www.ntels.com dkkim@ntels.com |
| IT서비스(모바일, 인터넷) |
| 서울 |
㈜포스코 |
| www.poscoventure.co.kr fcphanyang@posco.com |
| 전 산업분야 |
| 서울/포항 |
㈜블루포인트 파트너스 |
| www.bluepoint.vc contact@bluepoint.vc |
| 첨단제조(HW, IT), 의료/바이오(헬스케어, BT) |
| 서울/대전 |
(미래과학기술지주) |
| www.miraeholdings.biz startup@miraeholdings.biz |
| IT서비스, 부품소재, 의료/바이오(NT, BT) |
| 대전 |
㈜슈프리마 인베스트먼트 |
| www.supremainvest.com bbs@supremainvest.com |
| 의료/바이오(헬스케어, 적정의료, IT/BT 융합) |
| 서울 |
㈜현대자동차 (벤처플라자) |
| venture.hyundai.com kwangbum@hyundai.com |
| 모빌리티서비스, 커넥티드카(IoT, 헬스케어, 핀테크), 친환경차(부품, 충전인프라, 리싸이클) |
| 서울/광주 |
ETRI 홀딩스㈜ |
| www.etriholdings.com tips@etriholdings.com |
| 첨단제조(IT, HW) ICT서비스(SW), 부품소재, 의료/바이오 기기 |
| 대전 |
메가 인베스트먼트 |
| www.megainv.co.kr tips@megainv.co.kr |
| 서비스융합(Edu tech, O2O ), 의료/바이오 |
| 서울 |
웹스㈜ |
| tips.waps.co.kr |
| 첨단제조, 의료/바이오(HW), IT서비스 |
| 부산 |
인포뱅크㈜ |
| www.infobank.net startup@infobank.net |
| IT서비스(모바일, 스마트카SW) |
| 경기 |
카이스트청년 창업투자지주㈜ |
| kaistventures.com kvi@business.kaist.ac.kr |
| IT서비스(IoT, BT융합 등) |
| 서울 |
스프링캠프 |
| springcamp.co tips@springcamp.co |
| IT서비스(ICT, O2O, HW 등) |
| 서울 |
포스텍기술지주 |
| www.postechholding.com tips@postechholdings.com |
| 의료/바이오, 기계부품 IT(HW, 보안 등) |
| 서울/포항 |
케이벤처그룹 |
| www.kvgcorp.com contact.kvg@kakaocorp.com |
| IT서비스(SW, 인터넷, O2O 등) |
| 서울/제주 |
충북창조경제 혁신센터 |
| ccei.creativekorea.or.kr/ chungbuk/main.do inhyoung.kim@ccei.kr |
| 의료/바이오 화장품, IoT, AR/VR, EV/AI |
| 충북 |
케이런벤처스 |
| www.krunvenrues.com chungsoomin@krunventures.com |
| 첨단제조(HW), IT&제조 융합, IoT, 의료/바이오, 부품소재 등 |
| 서울/경기 |
선보엔젤파트너스 |
| www.sunbonpartners.com tips@sunbo.kr |
| 첨단제조(HW), IT제조융합 부품소재 |
| 부산/울산 |
전북지역대학연합 기술지주 |
| www.jbth.co.kr jhjeong@jbth.co.kr |
| 의료/바이오 제조, 부품소재, ICT |
| 전북 |
휴젤 |
| www.hugel.co.kr tips@hugel.co.kr |
| 의료/바이오 (의약품, 의료기기, 헬스케어 등) |
| 서울/대전 |
시너지아이비투자 |
| www.synergypartners.kr jhl@synergynet.co.kr |
| 의료/바이오 (의약품, 소재, 의료기기 등) |
| 경기 |
* 위 표에서 스프링캠프 이하 9개사 (‘16.11월 선정 신규 운영사)는 중소기업청에 액셀러레이터 등록 후 창업팀 추천 가능
** ‘17년에 추가 선정되는 운영사는 향후 홈페이지 등을 통해 안내 (‘17년 하반기)
[붙임 2]
연도별“졸업제”사업 현황
연도 | “졸업제" 사업 | 그 외 사업 |
2005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일반과제)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일반과제) 생산현장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중소기업개발과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전략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선도과제)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신규설치) 생산현장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컨소시엄개발과제) |
2006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일반과제)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일반과제)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중소기업개발과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전략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선도과제)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신규설치) 직무기피요인해소사업(컨소시엄개발과제) |
2007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일반과제) 중소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일반과제)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일반과제) 생산환경혁신개발사업(중소기업기술개발과제) 생산환경혁신개발사업(보급확산과제) 선도형기술혁신전략과제지원(슈퍼컴퓨터활용과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전략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선도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투자연계과제)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신규설치) 생산환경혁신개발사업(컨소시엄기술개발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일반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선도과제) 선도형기술혁신전략과제지원(첨단장비 |
2008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일반과제) 중소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일반과제)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일반과제) 생산환경혁신개발사업(일반과제) 생산환경혁신개발사업(보급확산과제) 선도형기술혁신전략과제지원(슈퍼컴퓨터활용과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전략과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투자연계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선도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투자연계과제)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신규설치)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선도과제) 생산환경혁신개발사업(선도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일반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선도과제) 선도형기술혁신전략과제지원(첨단장비활용과제) |
2009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실용과제) 중소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일반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실용과제)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실용과제) 생산환경혁신기술개발사업(실용과제) 생산환경혁신개발사업(보급확산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실용과제) 첨단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슈퍼컴퓨터 창업보육기술개발사업(실용과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선도과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신기술사업화평가연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투자연계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선도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협력펀드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투자연계과제)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신규설치)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선도과제) 생산환경혁신개발사업(선도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선도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연계형과제) 첨단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첨단장비활용과제) 창업보육기술개발사업(선도과제) |
2010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창업․실용과제) 중소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서비스유망과제) 중소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산업보안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실용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실용과제) 첨단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슈퍼컴퓨터 창업보육기술개발사업(실용과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미래선도과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글로벌투자과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신기술사업화연계)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수요조사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협력펀드과제)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신규설치)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지정공모과제)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선도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선도과제) 기업협동형기술개발사업(연계형과제) 첨단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첨단장비활용과제) |
2011 | 중소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서비스혁신과제) 중소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산업보안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해외수요처연계기술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융복합기술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연구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창업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성장과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글로벌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투자연계과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미래선도과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R&D기획지원연계과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농공상융합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수요조사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해외수요처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신규설치)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산연협력과제) 융복합기술개발사업(산연협력과제) 융복합기술개발사업(연계형과제) 연구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연구기관제안과제)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수요조사과제) |
2012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서비스연구개발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해외수요처연계기술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기업제안과제)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해외기술이전과제)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보급확산과제) 융복합기술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융복합기술개발사업(농공상융합형과제) 연구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창업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성장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재도약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건강관리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앱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1인창조기업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투자연계멘토링과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첫걸음과제)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글로벌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투자연계과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미래선도과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R&D기획지원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수요조사과제)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 해외수요처(글로벌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산연협력과제)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출연연과제)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신규설치) 산학연협력기업부설연구소지원사업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산연협력과제) 제조현장녹색화기술개발사업(출연연과제) 융복합기술개발사업(산연협력과제) 융복합기술개발사업(센터연계형과제) 융복합기술개발사업(사업화연계과제) 융복합기술개발사업(출연연과제) 연구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연구기관제안과제) 연구장비활용기술개발사업(출연연과제)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수요조사과제)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기업제안과제) |
2013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
2014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시장창출형창조기술개발사업 |
2015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이공계전문가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 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 제외)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시장창출형창조기술개발사업 창의적모바일제품개발사업(기금) 적합업종및국내복귀기업기술개발사업(기금) 재창업기업아이디어신제품개발사업(기금) 무역기술장벽극복을위한기술개발사업(기금) 기술혁신형IP통합솔루션지원사업(기금) 미래시장창출기업혁신디자인사업(기금) 지역기반특화지원사업(기금) |
2016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이공계전문가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 기업서비스연구개발사업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기업서비스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시장창출형창조기술개발사업 적합업종기업기술개발사업(기금) 재창업기업아이디어신제품개발사업(기금) 미래시장창출기업혁신디자인사업(기금) |
2017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연구장비공동 공정․품질기술개발사업(舊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 제품서비스기술개발사업 기술전문기업 협력 R&D 사업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기술전문기업 협력R&D 사업 제외) 창조혁신형재도전기술개발사업(기금) |
'■ 벤처펀드.벤처기업.신기술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 엔젤투자자, 유한회사형 벤처캐피탈 요건 완화 (0) | 2017.10.23 |
---|---|
엔젤투자지원센터 _ 전문 엔젤투자자 (0) | 2017.10.10 |
벤처에 몰리는 돈…벤처캐피털株 전성기 오나.국민연금·교직원공제회·산은…연말까지 1조4천억 투자예정 (0) | 2017.09.26 |
中企끼리 힘모아 벤처 만들면 금융지원. '협업전문기업제도`를 도입할 계획"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복원…스마트공장 2만개로 확대 (0) | 2017.07.26 |
한국벤처투자·성장금융 18조 펀드로 통합 추진 창업부터 `데스밸리` 극복…전과정 원스톱 맞춤지원 중소벤처부 산하 편입 유력 (0) | 2017.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