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경제,금융시장.사회 변화분석

자금시장 얼어붙은 1~4월, 20여개 대기업 자산매각 행렬 .코로나 보릿고개’ 유동성 확보전수천억원대 부동산 내놓거나1조 넘는 중국내 회사 매물로

Bonjour Kwon 2020. 5. 7. 08:09

2020.05.06.

신용등급 ‘부정적 전망’ 증가에
코로나발 매출 급감까지 겹치자
재무 개선·신용등급 방어 자구책

국내 대기업 약 20여곳이 올 1~4월 기간 동안 보유지분과 부동산 등 자산을 잇달아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발 매출 급감 충격으로 회사채 시장이 얼어붙고 은행 대출에서도 신용위험 경계감이 확산되는 등 자금조달 시장이 냉랭해지자 이제 보유 자산을 팔아 현금을 확보하고 차입금 변제·재무개선에 집중해 신용등급 유지·방어에 나서는 양상이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5일 <한겨레>가 투자증권회사 보고서 등을 활용해 1~4월중 대기업의 자산매각 및 보유지분매각 동향을 살펴보니 에스케이(SK)네트웍스·아모레퍼시픽·대림산업·삼성생명·에스케이이엔에스·에스케이디앤디·에스케이케미칼·한국콜마·매그나칩반도체·현대백화점그룹·이마트·엘지(LG)유플러스·해태제과·엘지화학·상사·전자 등 20여개 기업이 올들어 비수익 부동산 및 사업부문 자산(보유지분 매각 포함)을 매각했거나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각금액 수천억원대의 오피스 빌딩·호텔·땅 매각(아모레퍼시픽·대림산업·삼성생명·SK디앤디·이마트) △매각 가치 1조원 이상에 이르는 중국 내 가스회사 및 베이징 트윈타워 보유지분매각(SK이앤에스, LG화학·전자·상사) △처분액 수천억원대에 달하는 사업부문 매각(SK케미칼·한국콜마·해태제과·매그나칩반도체·현대백화점그룹·LG유플러스·LG화학) 등이다. 극심한 유동성 위기에 몰려 팔 수 있는 거의 모든 자산을 내놓고 있는 한진·두산그룹은 제외한 수치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은 대기업들이 코로나19로 1분기부터 매출이 감소한 데다 2분기에는 더 나빠질 것으로 확신하고 주로 차입금 상환 및 유동성 현금 확보를 위해 자산 매각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한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자산매각 관련 문의가 확실히 늘고 있다. 일단 버티는 모습도 보이지만, 2분기엔 현금 압박이 올 것이고 시간이 갈수록 목을 죄어오면 더 많은 기업들이 자산매각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엔에이치(NH)투자증권 쪽도 “대기업들이 유동성 부족 시뮬레이션을 해보면서 내부적으로 자산매각 준비를 많이 하고 있다. 다만 매각 자산을 받아줄 투자자들이 준비돼야 하는데 지금 내놓으면 제값을 받기 힘든 상황도 있다”고 말했다.

이미 지난해 하반기부터 국내외 신용평가사들의 대기업 신용등급 강등 전망이 잇따르면서 회사채 발행금리 여건이 나빠지고, 은행들도 상환능력 신용위험에 대한 경계감을 높이면서 대출을 줄이고 여신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태세다. 이에 따라 대기업마다 자체 자산매각을 통해 현금을 확보하고 차입금 변제 및 재무구조 개선에 나서는 등 신용등급 하향 조정을 피하기 위한 자구책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대기업의 은행대출(원화) 잔액은 지난 3월 말 165조9천억원으로, 1~3월에 13조6천억원 급증했다. 3월에만 10조7천억원 늘었다. 한국은행이 대기업 대출 속보를 편제(2009년 6월)한 이후 최대 규모 증가다.

주로 대기업이 발행하는 공모회사채 순발행액은 3월에 -5천억원(순상환)으로 위축됐다. 회사채 발행은 투자수요가 급감하고, 은행대출은 기업별 대출한도가 이미 꽉 찰 정도에 이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쪽은 “코로나19발 매출 충격이 본격화하면서 대기업조차 회사채 신용시장에 경계감이 퍼지고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금 확보를 위한 은행대출이 급증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이 신용등급(기업 자체 및 회사채 등급)을 보유한 비금융기업 418개를 분석해보니, 해외 신용평가사로부터 ‘부정적 전망’을 받은 기업 비중이 2018년 7.3%에서 지난해(1~11월) 17.9%로 높아졌다. 국내 신용평가사의 ‘부정적 전망’ 비중도 2018년 11.9%에서 지난해 14.0%로 증가했다. 2015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신용평가 등급 조정은 실적 저하 및 채무상환능력 악화가 일시적 경기순환 현상이 아닌 구조적 변화로 판단될 때 이뤄진다. 코로나19에 신용등급 충격까지 겹치자 대기업들이 자산매각을 통한 현금 확보에 나서는 양상이다.

조계완 박수지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