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IPO등>/Blockchain(가상화폐)

가상자산 시장 '정보 투명화'로…투기 아닌 투자하길"

Bonjour Kwon 2022. 4. 22. 04:52

최초 가상자산 공시 시스템 쟁글 개발한 김준우 대표 인터뷰
기술 데이터 외 오버행 이슈·실적 등 투자 핵심 정보 제공
정보 검증 안 되면 걸러내, 그간 맡은 코인 평가만 400여개
향후 NFT도 분석할 계획, 업계 트렌드 분석 콘텐츠도 강화
[이데일리 김예린 기자] “‘묻지마 투자’를 하는 분들이 많았고 지금도 그래요. 습관을 바꾸기는 어렵죠. 하지만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을 때,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주식 투자자 가운데 지인 추천이나 인터넷에 떠도는 정보만 믿고 투자하는 경우가 여전히 많다. 정보 비대칭성이 더 큰 코인의 경우 이런 식의 투기가 더 빈번하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투기와 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코인 하나하나 분석해주는 스타트업이 있다. 가상화폐 공시 시스템 ‘쟁글(Xangle)’을 운영하는 크로스앵글이다.
기술 장벽으로 투자 기회 막히지 않아야”

크로스앵글은 2018년 첫발을 뗀 국내 최초 가상화폐 공시업체다. 삼성증권·삼성전자·NXC를 거친 김준우 공동대표가 코인 공시 시스템을 개발한 뒤, 오픈서베이 공동창업자 이현우 공동대표와 함께 설립했다.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유일하게 가상자산 공시·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국내외 코인 프로젝트 팀과 가상자산 거래소마다 쟁글을 찾는다. 지난 2019년부터 지금까지 평가한 프로젝트만 400여개로, 방문자는 한달 평균 200만명이다.

김준우 대표는 지난 2017년 NXC의 투자 자회사 NXVP 대표를 맡으며 코빗과 비프스탬프 등 넥슨이 가상자산 거래소를 인수하는 과정에 참여했다. 그는 당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다트)와 증권사 리서치 등 투자 기준이 될 기본 정보가 공개된 증권시장과 달리 가상자산 거래소에는 코인에 대해 아무 정보가 없다는 사실에 아쉬움을 느꼈다. 거래소 차트를 보는 것만으로는 투자 결정이 힘들다고 판단했다. 코인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프로젝트팀이 내세우는 실적을 ‘팩트체크’ 해보겠다고 맘먹었다. 쟁글이 탄생한 배경이다.

김 대표는 “기존 금융시장은 정보 불균형이 덜한데 가상자산 시장은 정보가 권력과 돈이 된다. 특정한 누군가만 고급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폐쇄적 구조”라며 “블록체인의 본질인 탈중앙화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블록체인은 달랐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공식적으로 공개된 정보의 기본 수준을 끌어올리자고 결심했다”며 “기술과 금융에 대한 낮은 이해도 때문에 투자 기회가 막히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생각에 사업을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원본보기
크로스앵글이 운영하는 가상자산 공시·평가 사이트와 모바일 플랫폼. 사진=쟁글
검증 안 된 정보는 ‘아웃’

쟁글이 제공하는 정보는 크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모든 전송 내역을 기반으로 저장되는 온체인 정보 △재무 요소·프로젝트 진행 상황·실적 등 기업이 직접 쟁글에 제공하는 오프체인 정보로 나뉜다. 공시 방식은 신고제로 코인을 발행하는 프로젝트 팀이 직접 쟁글 홈페이지에 정보를 올린다. 파트너십 구축 등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정보는 사실관계를 확인 가능한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공시할 수 있다. 검증되지 않는 정보는 걸러내기에, 공시를 반려하는 경우가 30~40%다. 제보를 접수하면 프로젝트 팀에 답변을 요구해내는 조회공시도 한다.

김 대표는 “누구나 쉽고 편하게 코인 프로젝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주식시장과 비슷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며 “이 코인이 어디에 쓰이며 어찌 활성화할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해당 코인을 쓰는지, 돈은 있는지 질문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어 “프로젝트 팀마다 초창기에는 성과를 많이 못 낼 수밖에 없다”며 “매출만으로 가치를 따질 수 있는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VC가 스타트업을 평가하듯 접근해 오픈체인 요소를 도입했다”고 덧붙였다.

프로젝트 평가도 쟁글의 핵심 서비스다. 증권사 애널리스트 출신 등 전문가들이 6개 항목을 실사하고 데이터 전문 팀과 경영진의 최종 검수를 거쳐 점수를 매긴다. 이를 바탕으로 AAA부터 D까지 점수에 맞는 등급을 부여한다. 6개 항목 중 5개는 토큰 이코노믹스(탈중앙화 정도 및 오버행 이슈, 유통량 스케줄 등)와 기술, 성과, 재무 지속성, 커뮤니티 측면을 보는 정량평가(85%)고, 나머지는 팀 역량, 주주 평판, 규제 및 산업환경 등 정성평가(15%)다.

쟁글은 향후 NFT 분석에도 나설 계획이다. 코인 시장이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며 확장성이 커지는 만큼, 분석 범위를 확장하고 평가 방식도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콘텐츠도 강화할 예정이다. 쟁글은 홈페이지를 통해 P2E, 웹3.0,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등 트렌드와 생태계를 소개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김준우 대표의 기준에 쟁글의 평가 시스템은 아직 미완이다. 때문에 코인에 대한 평가가 대중과 전문가의 눈높이와 맞는지 꾸준히 검증한다. 평가하는 코인과 비트코인을 비교했을 때 누가 봐도 비트코인의 가치가 더 높은데, 쟁글에서 상반된 평가 결과가 나온다면 기준을 수정해나가는 방식이다. 최대한의 전문성과 경험을 활용해 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내겠다는 목표다.

그는 “대다수 투자자와 전문가가 동의할 수 있는 수준의 평과 결과가 나오느냐에 집중한다”며 “수많은 가상자산을 획일화된 기준으로 표준 편차를 내면서 꾸준히 검증 절차를 거쳐 평가하는 일은 쟁글이 가장 오랫동안 정확하게 해왔다”고 자신했다. 이어 “더 많은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돼 투자자들이 사기당하지 않고 좋은 자산에 대해 투자할 수 있길 바란다”며 “탈중앙화 관점에서 투자 문화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