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금융사 "총인수금의 40% 이상 대출 못해준다"…LBO식 M&A에 급제동 걸리나
한국경제 | 2014.03.04 오
대출금 조기상환 요구 등 '깐깐한' 잣대로 사실상 관리
해외투자자들 LBO 안하는 조건 달기도
[ 좌동욱 / 이태호 / 정영효 기자 ] ▶마켓인사이트 2월28일 오후 05시13분
국내 2위 보안회사 ADT캡스 인수전에서 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칼라일이 승리했다.
▶본지 2월26일자 A1면 참조
칼라일과 ADT캡스 대주주인 미국 타이코그룹은 3일 약 2조원대로 알려진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이 딜은 글로벌 사모펀드 간 대결이라는 점과 함께 칼라일과 막판까지 경쟁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의 인수금융(차입금)이 의외로 적은 7500억원 수준에 불과했던 것도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차입금 비율이 몸값(1조9000억원 이상)의 40%, ADT캡스 에비타(상각 전 영업이익)의 4.5배 정도였다.
국내 시중은행과 연기금이 LBO에 ‘깐깐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 일부 PEF 운용사는 돈을 빌려준 대주단(채권단)으로부터 사실상의 재무관리를 받고 있을 정도다.
MBK와 맥쿼리는 2012년 씨앤앰(C&M) 인수 금융을 차환(리파이낸싱)하는 과정에서 대주단이 요구한 까다로운 조건(커버넌트)을 받아들인 것으로 확인됐다. 씨앤앰은 2013년 회계연도 말 기준 순차입금 규모를 에비타(상각 전 영업이익)의 두 배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또 대주단 서면 동의 없이 부채, 보증, 담보를 제공할 수 없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계약 체결 당시엔 느슨한 조건이라는 의견이 있었다”며 “하지만 작년부터 유료방송업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실적이 나빠지자 안심할 수 없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씨앤앰이 조건을 맞추지 못하면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돼 MBK와 맥쿼리는 2조2000억원의 부채를 모두 갚아야 한다.
유피케미칼의 대주주 우리르네상스는 작년 초 대주단으로부터 “대출(리파이낸싱) 당시 조건을 어겼다”며 대출금 조기 상환을 요구받았다. 당초 만기는 올해 4월. 순이익이 2011년 19억원에서 2012년 103억원으로 급증했는데도 일부 금융회사가 조기 상환을 고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르네상스는 지난해 10월 다른 투자자를 모집해 가까스로 차환에 성공했다. 보고펀드는 작년 8월 2250억원 규모 LG실트론 인수금융을 리파이낸싱하면서 만기를 1년밖에 연장하지 못했다. LG그룹이 지분 51%를 가진 대주주인데도 일부 금융회사는 만기를 장기로 연장하는 데 주저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외 금융회사도 LBO를 엄격하게 따지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PEF에 출자한 해외펀드투자자(LP) 중에서는 펀드 정관에 LBO를 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요구한 곳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른 관계자는 “차입금 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이 성장을 위한 투자보다 이자를 갚기 위한 배당 등을 더 관리하기 때문에 회사의 성장 기반을 해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LBO(leveraged buy-out)
인수 대상 기업의 자산, 향후 현금흐름을 담보로 금융권에서 돈을 빌려 기업 경영권을 사는 인수합병(M&A) 기법. 통상 인수를 완료한 뒤 기업 내부 현금으로 인수차입금을 상환한다. 적은 돈으로 큰 기업을 살 수 있는 방법이지만 인수한 기업이 제대로 수익을 내지 못하면 큰 손실이 날 수 있다.
좌동욱2014.03.03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칼라일그룹(The Calyle Group)이 타이코(Tyco)로부터 국내 2위 보안업체 ADT캡스를 최종 인수했다.
3일 ADT캡스에 따르면 ADT코리아로 알려져 있는 ADT캡스, 캡스텍과 ADT시큐리티가 칼라일 그룹에 미화 19억3000만 달러(약 2조650억원)에 판매됐다. 칼라일은 지난주 ADT캡스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뒤 매각주관사인 모건스탠리와 협상을 진행해왔다. 거래는 2014년 타이코의 회계기준 3분기에 규제 관련 승인을 포함한 제반 사항에 따라 완료할 예정이다.
ADT 코리아는 약 47만5000개의 중소형 사업, 대형 사업 및 주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업 분야로는 출동과 통합관제시스템을 포함한 무인경비시스템과 영상감시, 출입통제, 인력경비서비스 등이다.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7500명의 직원과 69개의 지사를 포함하는 전국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조지 올리버 타이코 최고경영자는 “ADT코리아는 건강하고 수익성이 좋은 비지니스이지만 이번 거래는 타이코 사업 구도의 미래 성장가능성을 보여주고 우리의 포트폴리오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라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M&A시장에 매물로 나온 ADT캡스를 매매하기 위해 KKR, 어피티니에쿼티파트너스, 베인캐피털-유니타스캐피털 컨소시엄, 스탠더드차타드 프라이빗에쿼티, IMM 프라이빗에쿼티 등 국내외 PEF들이 본입찰에 참여했다.
타이코는 금번 거래를 통해 미화 18억5000만 달러의 현금을 손에 넣게 된다. 추후 전략적 인수, 주식 매입 및 기존 성장 동력의 투자 등의 수익 증대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김영환 (kyh1030@edaily.co.kr)
ㅡㅡㅡㅡㅡㅡㅡ
'■<주식투자.IPO등> > ■ 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M&A 거래 활성화 대책에 업계 '"반갑다" 유동성 부족 중견 기업 M&A 거래 증가할 듯…PEF도 투자처 찾을 기회 (0) | 2014.03.04 |
---|---|
동양매직 사고 싶어 기업·PEF 줄섰다 법원 주관 진성매각 방침에 10여곳 인수의사…현대백화점·日팔로마 등 재도전 (0) | 2014.03.04 |
위안다증권, 동양증권 인수금액 1천250억 제시,지분27%는 현시가 7~800억수준+경영권프레미엄400~500억 수준 (0) | 2014.03.01 |
삼키려다 탈났나 'M&A 악순환' 주의보시스템 안정되지 못한 코스닥 기업들, 경영권 분쟁이 실적 악화로 이어져 . (0) | 2014.02.27 |
동양증권 본입찰 마감. 2300억원대 쓰낸. 대만 유안타증권 단독 참여,4월경 새주인 될 전망 (0) | 201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