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03월 06일 07:54 더벨
지난해 말부터 다소 낯선 이름들이 벤처캐피탈업계에 나타났다. 그 주인공은 바로 공제회들이다. 교직원공제회와 행정공제회, 군인공제회 뿐만아니라 최근 몸집을 키우고 있는 과학기술인공제회까지.
이들은 잇달아 벤처펀드 출자에 나섰고, 벤처캐피탈들은 앞다퉈 제안서를 제출했다. 지난해 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를 역설하면서 주요 유한책임출자자(LP)의 출자규모는 급증했지만 매칭할 수 있는 LP는 그대로였다. 위탁운용사들이 줄줄이 펀드결성 마감에 쫓기는 와중에 공제회의 매칭출자 소식은 가뭄 속 단비와 같았다.
무엇보다도 공제회의 벤처펀드 출자가 반가운 이유는 벤처캐피탈업계의 오랜 숙원인 유한책임출자자(LP) 다각화의 신호탄이라는 것이다.
사실 공제회는 과거 벤처펀드 출자를 진행한 이력이 있다. 하지만 당시 대부분의 펀드들이 낮은 수익률을 내놓는데 그쳤고, 공제회와 벤처캐피탈간의 인연도 거기에서 멈췄다.
하지만 그 이후 벤처캐피탈은 많은 발전을 이뤘다. 2012년 주목적 투자별 청산조합을 살펴보면 내부수익률(IRR) 기준 중소/벤처조합 4.62%, 창업초기기업 4.48%, 세컨더리 10.23% 등 높은 성과를 보였다. 마이너스 수익률의 대표주자였던 문화콘텐츠펀드도 지난해 처음 투자금 중간배당을 실시하며 수익성을 갖춰나가는 모양새다.
수익을 낸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벤처펀드를 바라보는 시선도 변하고 있다. 저금리·저성장 기조 속 주식과 채권 등 투자수익률이 한계에 다다른 공제회는 다시 벤처캐피탈을 찾기 시작했다. 벤처펀드는 수익률 달성과 투자 포트폴리오 다각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상했다.
벤처캐피탈이 공제회가 거는 기대에 부응한다면 보험사와 은행, 나아가 대기업들까지 벤처펀드 출자에 나설 것이다. 이들은 공제회와 마찬가지로 자산운용에 대한 욕구가 커 수익을 내는 투자처를 찾아 헤매고 있다. 특히 국내 30대 기업은 사내유보금이 2007년 228조 3000억 원에서 지난해 390조 1000억 원으로 급증했다.
벤처캐피탈리스트 A씨는 "수익률이 높아지면서 민간재원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벤처캐피탈 모델도 더이상 꿈은 아니다"고 자신한다. 그의 말처럼 이번 공제회 출자를 계기로 벤처캐피탈이 유한책임출자자(LP) 다각화라는 과제를 풀 수 있기를 바란다.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
[ 관련기사 ]
과학기술인공제회, 블라인드 펀드 800억 출자
과학기술인공제회, 블라인드 펀드 출자 '흥행'
과기공, 벤처펀드 숏리스트 8개사 '선정'
행정공제, 벤처펀드 GP 5곳 선정
군인공제회, 벤처펀드 GP 6곳 선정
'■국내기관투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연금, 대체투자 전략에 새 바람 확실한 투자에 신속한 의사결정‥포트폴리오 변화에 해외 GP 관심 높아 (0) | 2014.03.12 |
---|---|
과기공, 500억 규모 PE 출자사 숏리스트 선정 11곳 중 10곳만 심사 통과‥내주 2차 프리젠테이션 예정 (0) | 2014.03.11 |
연기금·공제회, 해외투자 전투체제 갖춘다 국내 벗어나 수익률 극대화 노려…국민연금 작년 4.19% 수익 거둬 (0) | 2014.03.09 |
국민연금-풀무원, 4000억원 규모 코파펀드 조성. 펀드 운용은 풀무원 계열 한국바이오기술투자와 글로벌앤드어소시에이츠(G&A) (0) | 2014.03.05 |
행정공제회 헤지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공고2014-02-28 (0) | 201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