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정책.제도,법규.세제등

금융당국 은행 외화자산중 역외운용자산 30~40%로제한검토..외국계은행중 역외비중높은 중국계 은행 '사색'.ㅇ

Bonjour Kwon 2014. 3. 31. 07:52

역외자산 비중 30~40% 제한 검토…대형 중국계 은행 직격탄

윤동희 기자  |  공개 2014-03-31 07:01:00

이 기사는 2014년 03월 24일 12:0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당국의 중국계 은행 검사 돌입에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역외자산 등 최근 급격하게 성장한 중국계 은행을 마뜩찮게 여기던 당국이 관련 영업규제를 만들기 위해 이번 검사에 나섰다는 우려에서다. 금융당국은 역외자산 비중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규제가 도입될 경우 중국계 은행은 순익 감소는 물론 자산 축소도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24일 은행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은 지난 주 중국은행(BOC)을 시작으로 공상은행과 건설은행에 공동검사를 나가기로 했다. 금감원과 한국은행은 일상적인 검사의 일환이라는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중국계 은행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해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1~2년 전부터 외국계 은행, 특히 중국계 은행을 두고 역외자산 비중이 높다는 당국의 지적이 있었다"며 "위안화 예금 급증으로 다시 한번 주의를 받은 만큼 이번 공동검사가 중국발 리스크 등을 점검해 자산 운용에 규제를 두려는 의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중국계 은행이 국내에서 조달한 자금을 국내가 아닌 중국 본토에서 운용하는 영업 형태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국내에서 자금을 조달한 만큼 중국 현지 기업이 아닌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논리다. 중국 디폴트 리스크가 국내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이 같은 우려에 근거해 금융당국이 고려하고 있는 영업 규제 방향은, 역외자산 비중을 30~40%로 제한하고 나머지 60~70%를 현지자산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혹은 전체 자산이 아닌 외화예금을 기준으로 두고, 대출금 운용 비율에 규제를 두는 식이다. 금융당국은 보도자료를 통해 역외자산 규제 내용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지만, 업계는 해당 규제 도입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2013년 9월 공시기준

 

만약 역외자산 비중에 제한이 생긴다면 중국계 은행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중국계 은행 평균적으로 45%를 해외에서 운용하고 있어 해당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는 자산 규모를 축소시키는 게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5개 중국계 은행의 외화 대출금 규모는 지난해 9월 기준으로 86억 달러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100억 달러 가량으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에서 외화대출금을 운용하는 비중이 가장 큰 은행은 건설은행으로 61.2%(3분기 기준)다. 다음으로는 공상은행(52%), 농업은행(51%), 중국은행(33%), 교통은행(19%)이다.

 

업계 관계자는 "위안화 자금을 국내 기업에만 투자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비중 제한이 생기면 전 중국계 은행의 다운사이징이 불가피하고 수익성이 떨어져 철수를 검토할 수도 있다"며 "실질적으로 중국계 은행의 역외자산 절대 규모가 100억 달러 밖에 안되기 때문에 디폴트 리스크 우려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

[ 관련기사 ]

신한금투, 1차 중국은행 딤섬CD..엑시트 눈앞

위안화예금 유동화 부활, 당국 개입 효과 '일시적'

위안화예금 판매 중단 장기화 조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