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펀드 (국내)

亞 빌딩투자 뜨거워진다?…부동산펀드 자금유입 급증.라살투자운용은 올해 아시아 부동산 투자 약 10억달러 늘렸다

Bonjour Kwon 2014. 7. 16. 17:32

기사입력 2014-07-16

올해 하반기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큰 호황을 누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부동산투자 관리업체 존스랑라살(JLL) 산하 라살투자운용은 올해 아시아 부동산에 대한 투자를 약 10억달러(약 1조원) 늘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 보도했다.

 

라살투자운용은 아시아 부동산 투자에 올해 들어 약 10억달러 자금이 모였으며 그중 5억8500만달러는 중국 호주 일본 등 상업용 부동산에 투자하는 아세안펀드에서 유입된 것이라고 말했다.

 

마크 가바이 라살 아ㆍ태 지역 공동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는 인구, 고용 성장, 유동성 상황 등 근본적인 펀더멘털이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아시아 일부 지역은 경제 성장이 둔해졌지만 그 성장 속도는 여전히 미국 유럽 등보다 강한 상황이다. 몇몇 투자자들은 수익률 20%대에 달하는 아시아 지역 건물에 투자하는 등 고수익을 위해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보이고 있다.

 

JLL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지난 2분기 아ㆍ태 지역 상업용 부동산 거래 규모는 320억달러를 기록해 전기 대비 38% 급증했다고 밝혔다.

 

JLL은 올해 하반기 아ㆍ태 지역 상업용 부동산 거래 규모는 사상 최대치인 2013년 1268억달러에 육박할 만큼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고 CNBC가 전했다.

 

스튜어트 크로 JLL 아ㆍ태 자본시장 대표는 "최근 선행지표 격인 임대시장도 성장세가 가속화하는 데다 사모펀드 투자 수요도 늘고 있어 올해 하반기 아시아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상당히 분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슬기 기자]

 

ㅡㅡㅡㅡ

 

아·태 상업 부동산 '붐' 전망…韓·홍콩 거래 급증

최종수정 2014.07.16 오후 3:17

 

[머니투데이 최은혜 기자]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올 하반기 상업용 부동산 거래가 붐을 이룰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한국과 홍콩, 인도에서 거래가 활발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16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미국 부동산 컨설팅 회사 존스랑라살(JLL)은 이날 공개한 보고서에서 올해 2분기 아태지역의 상업용 부동산 거래 규모가 전 분기 대비 38% 증가한 320억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서는 비슷한 규모지만 JLL은 향후 몇 개월 동안 거래량이 크게 회복돼 기록적인 수준이었던 지난해의 1268억달러에 근접할 것으로 내다봤다.

 

JLL의 스튜어트 크로우 아태자본시장책임자는 "아태지역의 상업 부동산에 대한 직접 투자가 지난 1분기에는 통상적으로 그렇듯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2분기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랜드마크 포트폴리오 거래나 대규모 부동산투자신탁(REIT) 등이 이를 뒷받침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크게 늘며 거래가 26% 증가한 29억달러에 달했다. JLL은 "올 상반기에 외국인 투자자 거래가 잇따른 것은 한국의 기초여건이 개선되고 있으며 대출조건도 매력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전통적인 핵심 시장이 과밀현상을 보이는 가운데 한국 시장은 좋은 대안으로 떠올랐다"고 설명했다.

 

홍콩도 지난 2분기 상업 부동산 거래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24% 늘어난 18억달러를 기록했다. 인도 역시 친(親)시장 성향의 정부가 들어서고 루피화도 안정되면서 거래가 살아나고 있다고 JLL은 전했다.

 

반면 호주와 일본은 예상보다 거래가 다소 부진한 모습이다. 캐나다 연기금(CPPIB)과 호주 사무용 부동산 업체인 덱서스 부동산 그룹이 공동으로 호주 커먼웰스 부동산 오피스 펀드를 인수한 건은 규모가 컸지만, 이 거래를 제외한 호주의 상업 부동산 거래는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78억달러에 그쳤다.

 

일본은 지난 2분기에 거래 규모가 오히려 18%(연율기준) 줄어든84억달러를 기록했다. 일본의 상업 부동산 매매는 지난해 69% 급증했던 데 반해 올해는 그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지난 4월 단행된 소비세 인상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