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부동산회사

일본 종합 부동산 회사.전문 디벨로퍼!.자본력과 전문기회력.저평가된 부동산을 개발 고부가가치 부동산으로. 개발/관리/중개등 토털서비스

Bonjour Kwon 2015. 12. 8. 10:02


[김찬호의 일본 부동산 인사이트]일본 종합 부동산 회사의 역할과 시사점
김찬호 연구위원  | 





2015.05.14  10:00:32












 
 
 

일본의 부동산 시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는 기업 유형으로 종합 부동산 회사라는 것이 있다. 건설회사가 주도적 역할을 하는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용어지만, 말 그대로 부동산과 관련한 모든 영역의 사업을 하는 기업을 말한다.


종합 부동산 회사는 조금 더 엄밀히 말하면 전문 디벨로퍼를 뜻한다. 핵심사업은 개발사업으로써 저평가된 부동산을 개발해 고부가 가치 부동산으로 만들어 이익을 창출한다. 간단한 예로 미개발 또는 낙후된 지역을 자본력과 전문적인 기획력으로 주거, 상업, 오피스 등 복합기능을 갖춘 단지로 개발해서 분양이나 임대를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그리고 그 이후에 부동산의 가치를 유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관리, 중개, 리폼 등 다양한 서비스 사업과 연계된 활동을 한다. 즉 부동산에 대한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종합 부동산 회사와 건설회사의 가장 큰 차이는 핵심 역량이 개발 역량이냐 아니면 건설(또는 건축)기술 역량이냐이다. 이러한 차이에서 사업 구조나 선호 사업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표 ‘종합 부동산 회사와 건설회사 특징 비교’를 보면 그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우 왜 일본의 종합 부동산 회사와 같은 기업 유형이 없는 것일까?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기업의 부동산 투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차이인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경제개발 단계에서 제한된 자원을 기업 육성에 할당해온 만큼 기업의 부동산 투자에는 강하게 규제해왔다. 그리고 IMF 이후 구조조정 과정에서 기업의 부동산 보유에 간접규제가 더 강화되었다. 금융기관의 대출심사, 법인 보유 부동산에 대한 양도소득 중과 등이 그 예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개발환경에서는 공영개발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도 큰 원인이다.

종합 부동산 회사의 본질이 디벨로퍼라는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도 디벨로퍼 역할을 하는 많은 기업들이 있지만 시행사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처럼, 그야말로 단기적인 시행사업에 그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국내 부동산 시장의 환경을 고려하면 우리나라도 종합 부동산 회사와 같은 기업 유형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점차 인구와 가구 증가 둔화, 고령화, 저성장 등으로 인해 국내 부동산 시장, 특히 주택 시장은 성숙화 시장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성숙화 시장에서는 임대, 관리, 중개 서비스 활동에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주택부동산 사업자도 이러한 서비스 활동과 연계하지 않으면 분양이나 임대사업이 잘 될 수 없다. 주택을 굳이 무리하게 소유할 필요가 없다. 주택을 잘 관리하지 못하면 금방 노후해 가치가 떨어질 뿐 아니라 처분하기도 어렵다. 임대하여 내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편리하게 살면 되는 것이다. 즉 점차 성숙화 시장으로 바뀌면서 분양 이후의 서비스 활동에 대한 사회적 니즈와 중요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점차 도심의 낙후된 지역을 중심으로 재개발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신도시를 개발하는 것보다 기존 도시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과거 주택 가격이 상승하던 시기는 크게 자신의 돈을 들이지 않아도 재건축, 재개발을 통한 이익이 발생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다르다. 재건축, 재개발로 쉽게 개발 이익을 얻기는 어렵다. 특히 재정비 사업에도 그 단지와 지역 특성을 고려해서 주거만으로 하는 것이 좋은지, 주거와 상업, 문화, 오피스 등의 복합기능을 갖춘 형태로 하는 것이 좋은지 등 여러 전문적인 기획 능력과 자본력이 더욱 중요해진다.

이러한 제반 문제들과 관련해 전문적인 자본력과 기획 능력을 바탕으로 부동산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활동을 하는 것이 종합 부동산 회사이고, 이러한 기업이 앞으로 더욱 필요해지고 중요해진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선진국과 같은 종합 부동산 기업이 성장하지 못한 원인은 기업의 부동산 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이며, 다양한 직·간접적인 규제 요인이 있었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 여건이 변하는 만큼 부동산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기업의 부동산 투자에 대한 직·간접 규제를 개선하고 부동산 개발과 투자 전문 기업의 육성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김찬호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일본 게이오대학교 상학(경영학) 박사, 한국주거환경학회 이사, 현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