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9.15
◆ 대한민국 포트폴리오 ① ◆
![기사의 0번째 이미지](http://file.mk.co.kr/meet/neds/2013/09/image_readtop_2013_855420_13792331831044911.jpg)
국내 연기금ㆍ공제회 최고투자책임자(CIO)들은 현재 시점에서 내년도 투자계획을 세울 때 가장 크게 고려하는 요소로 미국 양적완화 축소(5명)와 인도 등 아시아 위기(4명)를 꼽았다. 최근 글로벌 투자환경이 녹록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CIO들 사이에 투자환경 변수에 대한 시각은 엇갈렸지만 이를 해석하고 전망하는 눈높이는 짜맞춘 듯 비슷했다. 10명 가운데 9명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한국 경제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했다.
단기적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가져올 수는 있지만 근본적으론 미국 경제가 회복되는 것인 만큼 중ㆍ장기적으로 긍정적이라는 진단이다. 한 연기금 CIO는 "부정적인 영향은 제한적이고 국가 간 펀더멘털의 차별화가 진행되며 국내 경제가 상대적으로 더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런 전망의 연장선에서 아시아 신흥국 위기가 국내로 전이될 가능성도 희박하다는 분석이다. 응답자 중 90%가 아시아 신흥국 위기의 국내 전이 가능성이 없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대다수의 CIO는 외국인의 국내 증시 투자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연말까지 코스피가 2100 또는 그 이상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 CIO는 "여름에 샀던 주식을 차익실현하려 했으나 최근 외국인 매수가 강하게 들어와 차익실현 시점을 미루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말 원ㆍ달러 환율 전망치는 달러당 1050~1100원을 예상하는 비율이 70%에 달했다. 지난 6월 1163원 수준이었던 달러당 원화값은 현재 1080원대를 오가고 있다. 급격한 가치 하락에 몰린 다른 신흥국 통화와 달리 원화값은 연말까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이란 예측이다.
CIO들은 또 한국(8명)과 대만(7명)이 신흥국 위기설에서도 차별화돼 주목받는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 CIO는 "한국과 대만의 경우 재정과 외환건전성이 양호하고 경상수지 흑자국으로 위기 국가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CIO들 사이에 투자환경 변수에 대한 시각은 엇갈렸지만 이를 해석하고 전망하는 눈높이는 짜맞춘 듯 비슷했다. 10명 가운데 9명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한국 경제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했다.
단기적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가져올 수는 있지만 근본적으론 미국 경제가 회복되는 것인 만큼 중ㆍ장기적으로 긍정적이라는 진단이다. 한 연기금 CIO는 "부정적인 영향은 제한적이고 국가 간 펀더멘털의 차별화가 진행되며 국내 경제가 상대적으로 더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런 전망의 연장선에서 아시아 신흥국 위기가 국내로 전이될 가능성도 희박하다는 분석이다. 응답자 중 90%가 아시아 신흥국 위기의 국내 전이 가능성이 없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대다수의 CIO는 외국인의 국내 증시 투자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연말까지 코스피가 2100 또는 그 이상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 CIO는 "여름에 샀던 주식을 차익실현하려 했으나 최근 외국인 매수가 강하게 들어와 차익실현 시점을 미루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말 원ㆍ달러 환율 전망치는 달러당 1050~1100원을 예상하는 비율이 70%에 달했다. 지난 6월 1163원 수준이었던 달러당 원화값은 현재 1080원대를 오가고 있다. 급격한 가치 하락에 몰린 다른 신흥국 통화와 달리 원화값은 연말까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이란 예측이다.
CIO들은 또 한국(8명)과 대만(7명)이 신흥국 위기설에서도 차별화돼 주목받는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 CIO는 "한국과 대만의 경우 재정과 외환건전성이 양호하고 경상수지 흑자국으로 위기 국가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기사의 1번째 이미지](http://file.mk.co.kr/meet/neds/2013/09/image_readmed_2013_855420_13792331841044912.jpg)
10명의 CIO 모두 향후 투자계획과 관련해 대체투자 비중을 늘리겠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해외부동산(7명)에 대한 관심이 가장 컸으며 이어 헤지펀드(5명), 인프라(4명), 국내 부동산(3명)을 대체투자 중 유망 투자 분야로 꼽았다. 전체적으로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대체투자를 강화하겠다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응답자 전원은 내년도 투자 시 해외 대체투자 부문 비중을 늘리겠다고 답했다. 한 CIO는 "대체투자 시장이 점진적으로 활성화돼가는 단계"라며 "특히 해외 쪽에 매력적인 투자건이 많아 해외 대체투자 비중을 꾸준히 늘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해외 주식과 국내 주식 비중을 늘리겠다고 한 응답자는 각각 7명과 5명이다. 반면 절반의 CIO가 국내 채권을 줄일 계획이라고 답했다. 한 공제회 CIO는 "저성장ㆍ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 채권 투자에 대한 전략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대부분 기관투자가들의 고민"이라며 "점진적으로 국내ㆍ순수채권 운용 규모를 줄이며 선진국 회사채와 구조화ㆍ하이일드 채권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주식 투자 시 유망 지역으로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을 꼽는 비율이 80%에 달했다. 한 CIO는 "내년부터 선진국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 회복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주식과 대체투자 분야에서 신흥국보다는 선진국이 좋아 보인다"고 말했다.
응답자 전원은 내년도 투자 시 해외 대체투자 부문 비중을 늘리겠다고 답했다. 한 CIO는 "대체투자 시장이 점진적으로 활성화돼가는 단계"라며 "특히 해외 쪽에 매력적인 투자건이 많아 해외 대체투자 비중을 꾸준히 늘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해외 주식과 국내 주식 비중을 늘리겠다고 한 응답자는 각각 7명과 5명이다. 반면 절반의 CIO가 국내 채권을 줄일 계획이라고 답했다. 한 공제회 CIO는 "저성장ㆍ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 채권 투자에 대한 전략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대부분 기관투자가들의 고민"이라며 "점진적으로 국내ㆍ순수채권 운용 규모를 줄이며 선진국 회사채와 구조화ㆍ하이일드 채권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주식 투자 시 유망 지역으로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을 꼽는 비율이 80%에 달했다. 한 CIO는 "내년부터 선진국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 회복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주식과 대체투자 분야에서 신흥국보다는 선진국이 좋아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기관투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드만삭스 수수료 잭팟, 투자자는 쪽박 '냉가슴' 수수료는 10배, 손실은 2배… 말레이시아 1MDB 채권 투자자 평가손실 (0) | 2013.09.21 |
---|---|
해외빌딩 가격 너무 올라…쇼핑몰·콘도 투자 저울질중" (0) | 2013.09.17 |
군인공제회 회원급여저축 연복리 5.4%.2013. 09. 16 (0) | 2013.09.17 |
내년 국민연금기금운용 축소 전망…481조9천억 (0) | 2013.09.16 |
박민호 사학연금 CIO "해외투자가 답…5년내 두배로" (0) | 201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