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정책.TAX,제도,법규 1011

다주택자 '임대 등록' 2020년 의무화… 임대가격 국가 직접 통제! 동탄2, 평택고덕, 운정3, 아산 탕정등 공공택지 후분양 방식 건설회사에 공급

< 민간 부분 건설사등 공급자 지원> ㆍ택지대금에 18개월의 거치 기간을 주고 대금 완납전 사용승락 허용., - 공정률 60% 이후 .사업장에 기금 대출한도 확대 및 금리 인하 - HUG 후분양대출 보증 대상 확대 ,보증료율 인하 및 표준 PF 도입 < 소비자 지원> - 후분양 사업장 중도금 대출 ..

주택 후분양제.하반기 공공부문부터 단계적 도입.22년까지 공공분양 주택 70% 후분양.민간부문 자발적 참여 유도 . 임대주택400만호확보.

주택 후분양제 14년 만에 부활, 하반기 공공부문부터 단계적 도입 ㆍ후분양 시점은 아파트 공정률 60%(골조 완성 단계)ㅡ ㆍ간부문의 후분양도 활성화하기 위해 공공택지 우선공급 등 인센티브 ㆍ임대주택시장 다주택자임대등록. 단계적 의무화 로 강수 ㆍ가격제한하고 공급은 늘..

"2년간 임대등록 부진땐 강제조치"…임대시장 사실상국가관리.다주택자 ;의무화때처벌은?임대등록 세제혜택있지만 가격 면적제한 서울선 무의미

2018.06.28 공적임대 200만호로 늘려도 임대주택 모자라 정부 초강수 부동산 총괄 靑김수현 수석, 민간임대차 통제 獨모델 선호 서울 다주택자 셈법 복잡해져…"의무화때 처벌은?" 시장 혼란 임대등록 세제 혜택있지만 가격 면적 제한 서울선 무의미…"양질 임대제공 위해 ..

김현미 "상가임대차보호법 갱신기간 10년으로 확대.버스준공영제 전국확대"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위해 퇴거보상 제도 보강.

김현미 "상가 임대차보호법 갱신기간 10년으로 확대…버스 준공영제 전국 확대" 2018.06.25 진에어 감사 결과 이번주 중 발표 정부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계약 갱신기간을 현행 5년에서 10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 주52시간 근로 시간 단축제도 도입으로 ‘버스 대란’ ..

국토부 "주택공급 많은 지방, 공급조절 수단 검토"미분양과다 지역 대책준비…깡통주택·가계부채 우려에 HUG PF보증요건 강화 가능성

김현미 국토부장관 "주택공급 많은 지방, 공급조절 수단 검토" 최초입력 2018.06.25 미분양과다 지역 대책준비…깡통주택·가계부채 우려에 HUG PF보증요건 강화 가능성 "주택정책 통한 경기부양 안돼"…부산 등 청약규제 완화 안할 듯 "다주택자들 주택 팔기 시작&q..

부동산,부부공동 명의절세?다주택자·공동명의가 보유세·양도세 모두 유리.양도세는 부부의 주택수 합산,중과세 피할수 없다

[중앙일보] 입력 2018.03.05 ━ 최용준의 절세의 기술(12) 단독 명의보다 부부 공동명의로 하는 것이 세금 면에선 훨씬 유리하다. [일러스트 이창희] 질의 :정부가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부담을 늘리고 향후 보유세도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부동산 관련 세 부담을 줄..

보유세 개편안, 부동산 시장 영향 '미미'실거래가 대비 0.2%수준 불과 ? 보유세 진짜 폭탄은 '시세 반영하는 공시가격 조정'!

보유세 개편안, 어떤 내용 담겼나 뉴시스 2018.06.22 【세종=뉴시스】김경원 기자 = 정부가 22일 공개한 보유세 개편안은 사실상 종부세 인상을 담고 있다. 개편안 대로라면 최대 34만8000명의 종부세가 올라간다. 특히 30억원 다주택자의 경우 최대 37.7% 세금이 오르게 돼 시장 충격파가 만만치..

대출막고 금리오르고 종부세조이고… 부동산 3重苦. 단기거래급감할것.강남보다 공급과잉 지방직격탄 .신규 분양·수익형 부동산 관심.다시오르것?

2018.06.23 [종부세 개편안 윤곽] 1990년 치솟은 부동산 가격을 잡기 위해 일본 정부는 대출 규제와 보유세 인상 등 규제를 쏟아부었다. '부동산 융자 총량규제'를 통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 가는 자금을 묶었고, '지가세(地價稅)'를 신설해 매년 토지 가격의 0.3%를 세금으로 걷겠..

1)광역도시계획 5년마다 재검토.인구감소·도심쇠퇴 상황고려…신속한 도시재생 추진위해 2)속도 내는 한강변 재건축…광진 자양7 단독주택 재건축..

도시계획 5년마다 재검토 한다…국토부 광역도시지침 개정안 2018.06.21 정부가 20년 단위로 세우던 광역도시계획을 5년마다 재검토하기로 했다. 최근 인구 이동이나 도시 쇠퇴 등으로 나타나는 급격한 도시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다. 현재 인구 수준만 믿고 과도한 ..

1.도시계획 5년마다 재검토 한다.인구감소·도심쇠퇴 상황고려…신속한 도시재생 추진위해.

도시계획 5년마다 재검토 한다…국토부 광역도시지침 개정안 2018.06.21 정부가 20년 단위로 세우던 광역도시계획을 5년마다 재검토하기로 했다. 최근 인구 이동이나 도시 쇠퇴 등으로 나타나는 급격한 도시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다. 현재 인구 수준만 믿고 과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