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9.03
연 3% 중후반의 이자를 지급하는 공공임대리츠가 오는 11월 일반 개인들을 대상으로 첫 선을 보인다. 대한주택보증 지급보증 등으로 국고채만큼 안전한데다 은행 특판상품 못지않은 수익성까지 갖추고 있어 초저금리에 목말라하는 개인들에게 큰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1월 중 개인들이 투자할 수 있는 공공임대리츠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공공임대리츠는 민간과 공공이 공동 투자한 리츠가 임대주택을 건설·공급하고 임대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분하는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이다.
민간자본 투자를 유도해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됐다. 지난달 초 영업인가를 받은 공공임대리츠 1~2호는 기관투자가들의 높은 관심 속에 755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는데 성공했다.
국토부는 공공임대리츠 3호부터 기관투자가에 한정됐던 투자풀을 개인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공공임대리츠가 발행하는 500억원 규모의 프라임 ABS에 개인들이 투자하는 식이다.
프라임 ABS는 일종의 선순위 대출로 만기는 14년이다. 만기 이전 아무 때나 처분도 가능하다. 프라임 ABS의 금리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3% 중후반이 될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했다. 앞서 진행된 1~2호의 경우 프라임 ABS의 금리가 3.75%를 기록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한주택보증의 지급보증 등으로 안전한데다 국고채보다 수익률이 높아 첫 발행 때도 금리 경쟁입찰이 치열했다"며 "3호는 1~2호보다 금리가 소폭 낮아질 것으로 보이지만 3% 중후반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선 공공임대리츠의 프라임 ABS가 금리 경쟁력이 뛰어난 만큼 개인들이 큰 관심을 보일 것 예상했다. 한 증권사 상품개발담당자는 "최근 저금리 영향으로 3%대 특판상품에 수백억원이 몰릴 정도"라며 "공공임대리츠의 프라임 ABS는 안정성과 수익성까지 갖춰 큰 인기를 끌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프라임 ABS에 투자할 경우 공공임대리츠 등 임대주택리츠에 주어지는 저율 분리과세(3억원 이하, 5%) 혜택을 받을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현행법상 임대주택리츠의 분리과세 혜택은 출자자만 받을 수 있다.
리츠업계 한 관계자는 "공공임대리츠에 개인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선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산을 넓혀야 한다"며 "분리과세가 부자감세란 지적도 있지만 공공임대리츠가 활성화되면 궁극적으로 서민들이 혜택을 볼 수 있는 만큼 충분히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Rei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츠 상장 문턱 낮추고 세제혜택은 확대' 국토부, 해외 사례 연구한 뒤 국내 적용 방안 마련 착수 (0) | 2014.09.18 |
---|---|
마스턴투자운용, 두번째 이천 물류창고 CR리츠 설립.싱가포르 국부펀드 GIC 투자(최근 2년7000억 물류투자) (0) | 2014.09.05 |
국토부,공공임대 리츠, 경쟁입찰로 기관투자자 5곳 선정…민간자금 7550억원 유치 3.8%내외. (0) | 2014.08.28 |
등록제로 전환 등 리츠법 표류ㆍ수익률 하락ㆍ상장 거부…리츠업계 ‘사면초가' 여야 극한 대치로 ‘법률안’ 상임위 상정도 못해 ’ (0) | 2014.08.28 |
취득세감면폐지. 임대주택리츠‥4만가구 공급.공공·민간임대주택리츠 세금부과시 수익률 2%↓‥투자유인 사라져 민간 주택공급도 차질 불가피 (0) | 2014.08.19 |